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VECM을 이용한 화물자동차 운임 결정요인의 실증 분석 -화물정보망 정보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reight Rates Using VECM - Based on Information of Cargo Freight Information Network -
이영재 ( Lee Young-jae ) , 김유나 ( Kim Yu-na ) , 이해찬 ( Lee Hae-chan ) , 여기태 ( Yeo Gi-tae )
UCI I410-ECN-0102-2023-300-000677095

국내 운송시장에 있어서 화물자동차의 운송분담률은 92.6%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화물자동차 시장은 유가를 비롯한 물가상승 등의 이유로 원가부담 상승에 따른 실질운임 감소와 이에 따른 과로, 과적, 과속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8년도에 화물운송 선진화방안으로 안전운임제를 시행하여 수출입컨테이너와 시멘트(BCT)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물자동차 운임과 다양한 외생 변수의 영향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안전운임제 확대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실제 화물정보망에 기록된 톤급별 화물자동차의 운임과 국내 경기지표, 산업지수, 물가지수, 공급지수 등 시계열 지수를 활용한 단위근, 공적분 검정과 VECM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8톤 미만의 화물자동차에서는 전산업 지수와 수입지수에는 양(+)의 영향을 미쳤다, 8톤 초과 화물자동차 운임에서는 국산지수와 서비스업 지수가 양(+)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각 톤급별 화물자동차 운임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 변수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domestic transportation market, the transportation share of freight cars accounts for 92.6%. In the truck market, real freight rate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cost burden due to the increase in prices such as oil prices, and accordingly, overwork, overload, and speeding competition intensified. Accordingly, in 2018,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safe fare system as a way to advance cargo transportation and applied it to import and export containers and cement (BC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expanding the safety fare system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ruck fares and various exogenous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unit root, cointegration test, and VECM of freight rates by tonnage recorded in the actual cargo information network and time series indexes such as domestic economic indicators, industrial indexes, price indexes, and supply index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ogenous variables affecting the freight rates of each ton class were different, with a positive(+) effect on the whole industry index and import index for trucks of less than 8 t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문헌연구
Ⅲ. 연구 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