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분야의 교육 방법은 논란이 이어지는 주제이다. 논란의 주된 이유는 디자인 교육의 ‘가르치는 쪽’과 ‘배우는 쪽’ 정보가 비대칭적인 데 있다. 즉, 디자인 교육이 사용하는 언어는 이를 전달받은 피교육자의 두뇌에서 재현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졌다. 디자인학과에서 진행되는 수업 대부분은 워크숍 중심의 스튜디오 방식이다. 즉 디자인 스튜디오에 다수의 피교육자가 동참하면서 다양한 조형을 경험하게 한다. 이런 조형 경험에서 얻은 감각 의미 기억은 의식적으로 사용하거나 전달할 수 없는 암시적 기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교육에서 정보 비대칭의 이유를 찾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해, 디자인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신경학이 제공하는 두뇌의 신경 활동 구조와 결합해, 학습과 기억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먼저 기억이 생성되는 신경 구조에서 출발해, 서로 다른 기억 유형과 이의 학습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후 기억이 코딩되고 이를 인출하는 과정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디자인 교육에 사용된 기억 방식을 분석하고, 디자인 정보를 언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연구 결과 기존의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 교육자가 피교육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암묵적으로 인코딩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암시적인 기억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의 정확도와 소통성은 명시적 기억에 비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는 의미의 비대칭성이 존재하게 된다. 시각 정보가 언어로 인코딩 되는 방식이 기억과 기억의 인출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생성된 디자인 지식을 활용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각 정보가 전달되고 기억되며 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컨텍스트를 일치시킴으로써 디자인 교육과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Education has been the focus of extensive debate related to design. The main reason for this controversy i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design education. In other words, wording used in design education ha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reproduce as images in the brains of trainees who receive them. Most design courses in design disciplines are studio-centered. In other words,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participate in design studios and experience various shapes. The sensory meaning memory obtained from this shape experience is an implicit memory that cannot be consciously used or communic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for information asymmetry in design education and to propose way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desig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memory in the context of the neural activity structure of the brain provided by neurology. First, starting from the memory structur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memory types and learning. Afterwards, the process of memory encoding and retrieval was analyzed for its influence on learning effect. Finally, analyzing the memory styles used in existing design education, explores the impact of visual information encoded and transmitted through semantics in design on learning efficienc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formation educators transmit to students is implicitly encoded in existing design education processes. However, the accuracy and communicability of content encoded through implicit memory are inevitably reduced relative to content encoded through explicit memory. Therefore, a meaningful asymmetry exists between them. Since the method of encoding visual information in language affects memory retrieval, the design knowledge generated in this way also affects its utilization. Efficiency of design education and learning can be improved by matching the encoding contexts for transmission, storage and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