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음식차림용 가구라고 하면, 바닥에 앉아서 대접받는 규모로 대부분이 20-30cm 높이를 한 식반 용도의 ‘소반(小盤)’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왕실행사기록인 의궤를 통해 보면, ‘오늘날 연회용 테이블’과 같은 규모를 한 ‘상(床)’이라는 가구도 흔히 사용되었으며, ‘반(盤)’은 음식차림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용도로도 활용되었음이 확인된다.
연구자는 현전 유물과 가장 가까운 시기인 18-19세기로 한정하여 의궤를 중심으로 반상의 쓰임과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의궤 자료는 18-19세기 서울대 규장각 소장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와 진연(進宴), 진찬의궤(進饌儀軌)를 중심으로 등장하는 반상들을 살펴보고, 논문에서는 그중 기록이 비교적 상세하며 본 논문의 취지를 뒷받침할 근거를 담고 있는 1802년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純祖純元王后嘉禮都監儀軌)와 1719년 진연의궤, 1848년 진찬의궤를 중심으로 논고를 서술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전통음식차림용 가구의 대표적인 가구로 의궤에서 특히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반과 상에 집중하여 그 쓰임과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신분의 위계가 드러나는 반상(盤床)의 사용과 칠(漆)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의궤에서는 칠 재료에 대한 상세한 언급이 기록되어 있고, 이전에 알려진 주칠(朱漆, 붉은칠)이나 흑칠(黑漆, 검은칠) 외에 세분화 된 명칭도 함께 전하고 있다. 이는 Ⅱ장의 반상의 쓰임과 형태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건이 됨으로써, Ⅲ장에서 이를 서술코자 하였다.
본 논고는 의궤에서 보이는 전통 음식차림용 가구에 대한 아직 시작에 불과한 연구이지만, 의궤에 ‘반(盤)’ 혹은 ‘상(床)’으로 명칭 되는 수많은 가구를 읽어내고, 현전하는 유물의 용도와 가치를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을 논의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The furniture for the meal-setting in Joseon Dynasty Era is generally known as ‘Soban’ for meal service with mostly 20~30cm height and seated-on-the-floor size. But, according to ‘Uigwe :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it has been found out that ‘Sang’(a same-sized table used for party nowadays) was used usually and ‘Ban’ was also utilized as the unknown usages in the mela-setting so far.
I would like to review the uses and features of ‘Bansang’ on the focus of ‘Uigwe’ within only 18~19 century. The data of ‘Uigwe’ was referred to ‘Garye Illustration Guide’ which was kept in Gyujanggak of Seoul National Univ. for 18~19 century and ‘Jinyoen’, ‘JinChan Uigwe’, showing the various ‘Bansang’. And furthermore, its assertion was raised on the focus of ‘Garye Illustration Guide of Sunjo Sunwon Wanghu(Queen) in 1802, ‘Jinyeon Uigwe’ in 1719 and ‘Jinchan Uigwe’ in 1848 which are more detailed relatively and bear the logical basis to back up this report.
On the second chapter of this report, ‘Ban’ & ‘Sang’ shall be focused that are frequently exposed on ‘Uigwe’ as the representative furniture out of the meal-setting furniture. On the third, uses of ‘Bansang’ and the relation with its painting shall be reviewed, showing the social hierachy. Especially, on ‘Uigwe’ the detail comments are recorded about the painting materials and descended together with the fractionized names besides the ‘Juchil’(red-painting) & ‘Heukchil’(black-painting) that are already known. This is an important requirement to understand the uses and features of “Bansang’, which shall be written on this report.
This report is just beginning for the study of the furniture, which was made for classic meal-setting on ‘Uigwe’, but it is significant to show you one way to understand the uses & values of the existing artifacts and read a lot of furniture named as ‘Ban’ or “Sang’ on ‘Uig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