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영ㆍ호남 지역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The Traditional Writing of Chunhyangjeon and the Literary Response of scribes in Yeongnam and Honam regions
김재웅 ( Kim Jae-woong )
호남학 71권 27-61(35pages)
DOI 10.37996/HS.71.2
UCI I410-ECN-0102-2023-100-000678470

영ㆍ호남 지역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필사본 <춘향전>은 1754-1944년까지 유통되었는데 <별춘향전> 계열(21종)이 가장 풍부한 실정이다. <춘향전> 필사자의 성별은 지역별 편차를 보여준다. 영남에서는 여성이 필사의 전통에 참여했다면 호남에서는 남성이 필사의 전통에 참여하고 있다. 영남 여성은 언문 학습을 통한 유교윤리를 체득했다면, 호남 남성은 탐관오리 비판과 공동체적 민중의식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춘향전>(8종)은 몰락한 선비집안의 사람들이 필사했다. 이들 작품에는 춘향의 절개와 여성의 욕망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목태림의 <춘향신설>, 유진한의 <춘향가>는 선비집안 남성이 필사했다. 농사주기를 살펴보면 <춘향전>(13종)은 농한기에 필사되었다. 농한기에는 몰락한 선비집안 사람들과 농민들도 작품을 필사할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 영ㆍ호남 <춘향전> 필사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학적 대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남에는 독서물적 성격, 호남에는 판소리 창본의 성격이 풍부한 지역별 텍스트의 개별성을 보여준다. 영남에는 이야기의 전개에 초점을 맞춘 독서물적 성격을 보여준다. 호남에는 판소리 공연에 활용된 장단 표시와 욕설이 첨가된 창본의 성격이 강화되어 있다. 둘째, <춘향전> 서두는 ‘절대가인’보다 ‘숙종대왕’이 풍부하다. 영남에는 이도령 중심의 초기본의 성격을 보여준다면, 호남에는 춘향 중심의 후대본의 성격을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은 이도령과 춘향이 부귀영화를 누리는 유교적 보상이 첨가된 보편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영남에는 사랑가의 축약과 이별가의 확장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호남에는 사랑가와 이별가 대목이 확장되어 있다. 영남에는 사랑가 대목이 축소된 반면에 호남에는 사랑가 대목이 확장된 지역별 특성을 보여준다. 넷째, 봉사의 성적 욕망은 신분계층에 의해서 구분된다. 영남 <춘향전>①,②,⑪ 등에는 몰락한 선비집안에서 봉사의 욕망을 생략한 반면에 <춘향전>⑤-⑨ 등에는 봉사가 춘향의 신체를 더듬는 장면이 첨가되어 있다. 봉사의 성적 욕망이 첨가된 작품은 필사자의 신분계층이 낮았을 것이다. 호남에는 봉사가 춘향의 몸을 더듬는 봉사의 성적 욕망이 생략된 작품이 좀 더 풍부하다. 다섯째, 과거급제와 암행어사의 행동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영남 <춘향전>에는 이몽룡의 과거급제와 암행어사의 관직수행에 공감하고 있다. 호남<춘향전>(7종)에는 이몽룡의 과거급제보다 암행어사의 직무 수행에 관심을 보인다. 호남에는 암행어사가 신관을 처벌하는 공동체적 민중의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ㆍ호남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작품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e literary response by region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gender and class of the scribe for the Yeongnam and Honam < Chunhyangjeon > (23 types). < Chunhyangjeon > was distributed from 1754 to 1944, and the < Byulchunhyangjeon > series (21 types) is the most abundant. Women in Yeongnam and men in Honam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ranscription. The < Chunhyangjeon > (13 types),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farming season, is a work written by fallen scholars and farmers. The literary response through text analysis of < Chunhyangjeon > in Yeongnam and Honam is as follows. First, it shows the difference in text by region, which is rich in reading materials in Yeongnam and Pansori Changbon in Honam. In Yeongnam,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are strengthened. In Honam, the nature of Changbon, which is suitable for Pansori performance, is strengthened. Second, the beginning of < Chunhyangjeon > is richer in “King Sukjong” than “Absolute Man.” If the early script centered on Lee Do-ryeong is shown in Yeongnam, the later script centered on Chunhyang is shown in Honam. Third, in Yeongnam, the abbreviation of Sarangga and the expansion of Goodbye Song appear abundantly. In Honam, the section of Sarangga and Goodbye is expanded. Sarangga was abbreviated in Yeongnam, but it was expanded in Honam. Fourth, in Yeongnam, if the sexual desire of the blind person was deleted from the fallen scholar's family, Honam is rich in works that omit the sexual desire of the blind person. Fifth, in Yeongnam, they sympathized with Lee Mong-ryong's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the performance of secret service, while in Honam, they are more interested in the performance of secret service than Lee Mong-ryong's passing the examination.

Ⅰ. 머리말
Ⅱ. 영ㆍ호남 지역 필사본 <춘향전>의 실상
Ⅲ. 영ㆍ호남 지역 <춘향전>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
Ⅳ. 영ㆍ호남 지역 <춘향전>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