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2D 도면 및 3D 모델링 분석을 통한 실내 건축공사 품질향상 체크리스트 제안
Quality Improvement Checklist for Interior Construction based on 2D Drawings and 3D Modeling Analyses
이준섭 ( Lee Jun-seob ) , 방홍순 ( Bang Hong-soon ) , 김옥규 ( Kim Ok-kyue )
UCI I410-ECN-0102-2023-500-000707645

건축물이 재산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국내외에서 실내 건축공사를 많이 하는 추세이다. 실내 건축공사는 물량 산출 및 적산까지 가능한 BIM 모델링의 기술까지 발전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반영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금액과 공정에 따라, 2D 도면과 3D 모델링을 통하여 진행하는 추세이다. 2D 도면과 3D 모델링은 서로 장단점이 존재하여 각 실내 건축공사에서는 시공 중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실내 건축공사의 현장 문제점, 2D 도면분석, 3D 모델링 분석, 사전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였다. 문제점 분석 결과 1) 발주자와 의사소통 2) 노무자와 의사소통 3) 도면의 이해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실내 건축공사 품질향상 체크리스트 제안을 하였다.

With property values of buildings rising, interior construction works are also increasing globally. Interior construc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that can estimate and integrate material quantities. Two-dimensional(2D) drawings and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are becoming a trend owing to the demanding on-site cost and process. 2D drawings and 3D modeling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at give rise to defects during interior construction work. The field problems, 2D drawings, 3D modeling, and preliminary risk factors of interior construction work were analyzed to identify real problems. Based on the problem analysis, various problems were derived, such as (1) communication with purchasers, (2) communication with workers, and (3) comprehension of the drawings. In this study, a checklist for quality improvement of interior construction was proposed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issues.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도면분석을 통한 실내 건축공사의 품질향상요인 도출
4. 실내 건축공사의 품질향상 체크리스트 구축 및 제안
5. 결 론
요 약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