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분산형 금융(DeFi)의 리스크와 거래의 신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Risks and Trust of Transactions in Decentralized Finance (DeFi)
김종호 ( Jongho Kim )
UCI I410-ECN-0102-2023-300-000712622

2009년 비트코인이 등장해 화제가 되었던 암호화폐 시장이 지금까지 정해진 거래소를 통하지 않으면 할 수 없었던 돈의 교환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당사자 간에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이 분산 금융(DeFi)이다. 분산형 금융은 다양한 활용사례(시스템의 활용 사례)를 창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두 가지 대표적인 케이스를 살펴보겠다. 가상화폐라고 들으면 가격변동이 큰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인 스테이블 코인은 디지털 통화로 일상적인 이용이 상정되고 있다. 또한 담보대출이나 보험절차에는 비용도 시간도 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면 수수료 등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국제송금에의 활용도 자주 인용되는 경우가 있다. 분산형 컴퓨터의 네트워크에 의해, 전 세계에서 금융거래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국제송금에 비해 신속한 거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대응 등의 과제는 있지만, 중개 수수료를 억제한 저비용 결제를 실현하는 선택사항 중 하나가 될 가능성도 있을지도 모른다. 분산형 금융(Defi)에 있어서의 대중적인 유스 케이스가 대차계약에 대한 활용이다. 기존의 중앙집권형과 비교해 분산형 금융(Defi)은 신용조사가 필요 없다는 점과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게다가, 저비용으로, 종래보다 빠른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시스템 구축 및 보급 가능성이 기대되는 분산형 금융(Defi)은 과제도 등장하고 있어 아직 서비스로서의 가동 실적은 적지만, 그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분산금융은 기존의 금융서비스와는 다른 특징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구조를 이해하고 새로운 금융상품서비스에 응용하는 것도 향후 기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산형 금융(DeFi) 시장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각국 규제당국의 규제 논의가 가속화하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시스템이 서로 연계되어 시스템 전체에서 기능하는 분산형 금융에서는 각 요소의 리스크와 트러스트 구조를 바탕으로 시스템 전체적인 지배구조가 요구된다.

With the advent of Bitcoin in 2009, the cryptocurrency market, which became a hot topic, can exchange money between parties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which has been impossible until now only through a fixed exchange. Distributed finance (DeFi) is what made it possible to access various financial services us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Decentralized finance has the potential to create various use cases (use cases of the system). Let’s look at two typical cases. When we hear a cryptocurrency, we can have a big image of price fluctuations. However, stablecoins with relatively stable prices are expected to be used on a daily basis as a digital currency. In addition, although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secured loans and insurance procedures are comm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sts such as fees can be greatly reduced by using smart contracts. In addition, its use for international remittance is often cited. Since financial transactions can be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by the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faster transactions are possib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ternational remittance. Although there are challenges such as countermeasures to prevent money laundering, it may become one of the options for realizing low-cost settlement with suppressed brokerage fees. A popular use case in the DeFi is its use in loan agreem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centralized type, the DeFi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not requiring a credit check and being able to use digital assets as collater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transaction faster than before at a low cost. The Distributed finance, which is expected to build and spread a new financial system using block chain, also has challenges, so it is still not enough to operate as a service, but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the trend. Since decentralized finan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from existing financial services, understanding its structure and applying it to new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may be expected in the future.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eFi market, regulatory discussions are accelerating by regulatory authorities in each country. In decentralized finance, where various stakeholders and systems are interconnected and function throughout the system, a system-wide governance structure is required based on the risk and trust structure of each element.

Ⅰ. 서 론
Ⅱ. 분산형 금융 각 구성요소의 리스크와 신뢰 구조
Ⅲ. 분산형 금융의 현황과 과제
Ⅳ. 각국의 분산형 금융의 규제논의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