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곽영순 ( Youngsun Kwak ) , 홍석영 ( Seok-young Hong )
UCI I410-ECN-0102-2023-300-000712253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 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focusing on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we explored students’ key competencies to be cultivated for the future society, and the role and PCK expertise necessary for science teachers, who are the main ag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o nurture these key competencies. A survey conducted among earth science teachers across the country results in 105 valid responses being obtained.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students’ key competencies to be nurtured for the future society, the role and the expertise of science teachers required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role and teacher expertise. We also conducted network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ompetency and teacher expertise, and the structure between the teacher’s role and expertise. Main results include tha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re the most important for students in the future society as core competencies. For science teacher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oriented activities are deemed as the most important.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role and the teacher’s expertise, there is a clear relationship with roles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oriented activities and utilizing various materials and contents in relation to the expertise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promote student’s agency based on raising teachers’ awareness of the student’s competencies, the inter-relatedness of the teacher’s role and the teacher’s expertise, and the totality of teachers’ expertise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