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OOO)에 입각한 형식주의 예술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OOO는 상관주의에서 벗어나는 탈인간중심주의적 존재론을 지향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무수한 객체들 중 한 객체에 다름 아니고 인간의 지각이나 인식 역시 객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접촉의 한 양상일 뿐이다. 여기서 미적경험은 실재객체와 감각성질 사이의 긴장으로 설명된다. 그 출발점은 객체에 대한 지각자의 진솔한 몰입에서 생겨난 실재객체와 감각객체 사이의 직접적 접촉이며, 여기서 지각자는 물러난 실재객체 주변에 감각성질을 공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술과 객체』를 통해 하먼은 OOO에 기반한 형식주의 예술론을 제시한다. 인간과 세계의 이항대립이라는 상관주의에 기반하는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의 형식주의가, 감상자를 작품과 분리시킴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을 확보하려 했다면, 하먼은 작품-감상자 혼성체를 미학의 기본단위로 수용하는 새로운 형식주의를 제안한다. 하지만 모든 관계들과 분리된 객체 개념에 기반한 그의 형식주의는 예술작품의 유의미한 감상대상을 규정하기 어렵게 하고, 예술작품이 연루되어 있는 실재적 의미층들을 함께 고려하는 걸 금지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formalist art theory based o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OOO). OOO aims for a post-anthropocentric ontology that breaks away from the correlationism that dominated philosophy in the past. According to him, human beings are nothing but one object among countless objects, and human perception or perception is only one aspect of the general contact that occurs between objects. The aesthetic experience is explained as the tension between RO and SQ. The starting point is the direct contact between RO and SO,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sincere absorption of the perceiver into an object. Here the perceiver plays the role of revolving SQ around RO withdrawn from SO. In Art and Object published in 2020, Harman presents a formalist art theory based on OOO. While the formalism of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ried to secure the autonomy of art by excluding the human viewer from art based on the correlationism of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human and the world, Harman accepted the work-viewer hybrid as a basic unit of aesthetics. However, his formalist art theory, makes it difficult to define meaningful objects of appreciation in works of art because of the concept of objects separated from all relations, and second, because of anti-literalism, the actual meaning layers in which the works of art are inv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