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체제 붕괴 후의 이념의 공백 상태를 파고든 것은 민족주의였다. 1990년대 대두된 러시아 민족주의와 민족 문제는 러시아 사회에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어 사회 담론의 많은 부분을 규정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초 러시아 민족주의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 경제는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점차 안정되어갔고, 정치는 푸틴 대통령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정치 환경에서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립할 어떤 것이 요구되었다. 2004년 러시아 정부에 의해 11월 4일이 “국민단결의 날”로 지정되자 우파민족주의자들은 이날을 기념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진을 기획하게 되는데 이것이 “러시아인의 행진”의 시작이다. 이 행사는 정부로부터 허가 받은 최초의 우파민족주의자들의 행사였으며,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가진 우파민족주의 단체들이 처음으로 함께 모여서 자신의 이념적 선전을 대중을 향해 펼쳤던 기회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와 연관된 흥미로운 사회현상들 중 하나인 “러시아인의 행진” 발생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쇠퇴의 원인을 살펴봄으로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우파민족주의의 모습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It was nationalism that penetrated the ideological vacuum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regime. Russian nationalism and ethnic problems that emerged in the 1990s spread rapidly in Russian society and defined many aspects of social discourse. However, in the early 2000s, Russian nationalism faced a serious crisis. The economy gradually stabilized due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in politics, president Putin’s power was strengthened.
In this new political environment, something was required to form and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2004, when November 4 was designated as “National Unity Day” by the Russian government, right-wing nationalists organized a march to commemorate the day, and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Russian March”. This event was the first right-wing nationalist event licensed by the government, and i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right-wing nationalist groups with diverse ideological spectrums to gather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spread their ideological propaganda to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status of right-wing nationalism in Russia during the Post-Soviet perio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cause of the decline of the “Russian March”, one of the interesting social phenomena related to modern Russian na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