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자녀 돌봄 실태와 정책 함의
Child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김은정 ( Eunjung Kim )
보건복지포럼 308권 48-63(16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71916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와 초등학생의 돌봄 실태를 분석하였다. 영유아기의 경우, 0세를 대상으로 하는 시설 서비스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공립어린이집뿐만 아니라 국공립유치원에 대한 공급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에도 학교돌봄이나 마을돌봄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지만, 실제로는 사설학원이나 개별돌봄서비스와 같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등 사설 학원 이용을 희망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돌봄 서비스에서는 학습적 욕구와 다양한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질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육아와 가사노동에 따른 신체적 고단함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과 함께 가정 내 양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tate of care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2021 Survey of Family and Fertility. The supply of facility services for 0-year-olds fell short of existing deman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expand the supply of not onl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but also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In the case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ate of using other services such as private academies is high even though they wished to use public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wish to use private facilities, such as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was quite high. Therefore, public care services need to provide high-quality programs that fully reflect the needs for learning and various activities. Finally as the difficulties in childrearing and physical hardship due to housework were found to be great, it is necessary to expand domestic childcare support along with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institutional care services.

1. 들어가며
2. 영유아 자녀 돌봄
3. 초등학생 자녀 돌봄
4.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