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9.234.68
3.139.234.68
close menu
KCI 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of Integrating Subject Matter and Software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지현경 ( Hyunkyung Chee ) , 임철일 ( Cheolil Lim )
교육공학연구 38권 2호 369-407(39pages)
DOI 10.17232/KSET.38.2.369
UCI I410-ECN-0102-2023-300-000726340

본 연구는 교육공학의 맥락에서 국어, 과학, 사회와 같은 일반 교과목의 지식을 소프트웨어 교육과 융합·연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초기 설계원리와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이후 총 3차의 전문가 타당화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원리를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를 안내하는 설계원리로 ① 수업 실행 가능성의 원리, ② 맥락 재구성의 원리, ③ 실제적 문제의 원리, ④ 소프트웨어도구 적합성의 원리, ⑤ 사용 용이성의 원리, ⑥ 자료의 명료성의 원리, ⑦ 프로그래밍 모둠 구성의 원리, ⑧ 문제이해 지원의 원리, ⑨ 아이디어 생성 지원의 원리, ⑩ 논리화 지원의 원리, ⑪ 점진적 문제해결 지원의 원리, ⑫ 공유 및 평가 지원의 원리로 총 12개의 원리가 개발되었다. 또한 각 수업설계 원리에는 그 원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상세지침 총 33개가 개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원리,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integrated subject matter and softwar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es that used educational technology to link general subject knowledge, such as Korean, science, and social studies, with software education. A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applied, with the initial design principles being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after which they were reviewed by experts and a usability test conducted. The validation opinions related to the first version of the design principles then led to further modifications. Finally, twelve integrated subject matter and softwar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identified: ① class feasibility; ② context reconstruction; ③ practical problems; ④ software tool suitability; ⑤ ease of use; ⑥ data clarity; ⑦ programming group formation; ⑧ understanding problem support; ⑨ supporting idea generation; ⑩ supporting logic; ⑪ progressive problem-solving support; and ⑫ sharing and evaluation support. To aid in implementation, 33 detailed guidelines were also developed for each instructional principl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and possible follow-up studies are also discussed.

Ⅰ. 서 론
Ⅱ. 선행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