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248.150
3.144.248.150
close menu
KCI 등재
비파형·세형동검의 검병 구조와 전개 과정 고찰
A Study of the Hilt Structure of Bronze Daggers and Their Development Process
김동일 ( Kim Dong Il )
호남고고학보 71권 67-100(34pages)
DOI 10.55473/JHAS.2022.71.68
UCI I410-ECN-0102-2023-900-000731265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은 주조 및 마연 후, 검신·검병·검파두식이 조립되어야 완성된다. 그러므로 동검에 대한 연구는 검병과 검파두식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일환으로 검병의 등장과 변천 과정에 집중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 비파형·세형동검의 검병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며, 동시에 새로운 시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병 변천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원전 9세기 말에서 기원전 6세기 전반까지 요령성 서부지역과 요령성 동부지역은 서로 다른 비파형동검을 사용하였다. 이는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인식하는 것처럼 검신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검병과 검파두식까지 포함된 형태에서 현격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기원전 9~8세기 한반도는 요령성 동부지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입주형 검파두식이 등장하지만, 이 검파두식은 석검 및 목검과 조합된다. 그 형태는 중국 동북지역과 달리 검파두식이 검병의 반부에 삽입되지 않는 형태로 발전하며, 검파두식은 검병의 반부에 얹어서 사용하는 형태로 발전한다. 셋째, 현재 세형동검의 기원에 대해 학계에서는 중국 동북지역의 말기 비파형동검(소위 요령식 세형동검)을 기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입주형 검파두식의 계승성, 검파두식과 조합되는 검병의 구조 및 형태 등을 고려할 때, 중국 동북지역의 말기 비파형동검은 한반도 출토 세형동검의 기원이 될 수 없고, 한반도의 비파형동검에서 자체적인 발전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넷째, 세형동검의 검병 제작기술과 구조, 검파두식의 형태 등을 고려할 때, 철검의 제작집단과 세형동검집단의 계승성을 상정할 수 있다. 즉, 철검의 제작집단은 철기 기술을 수용한 기존의 세형동검 제작집단에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and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China were completed only after casting, polishing, and assembly of the blades, hilt, and pommel fi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ail the appearance and transition process of the hilt of mandolin-shaped and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mandolin-shaped and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and through this proces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hilts of mandolin-shaped and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The transition of the hi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end of the 9th century BC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BC, the Liaoxi and Liaodong regions used different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This does not refer to only the blades known to scholar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 of the hilt and the pommel fittings. Second, in the 9th-8th century BC, the Korean Peninsula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iaodong region, in conjunction with which a new type of upright column-type pommel fitting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 but stone daggers and wooden daggers were combined. Unlike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the form developed into a form that did not insert the pommel fittings into half of the hilt. Third, scholars currently recognize the origin of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as the lat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so-called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However, considering the succession of upright column-type pommel fittings an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hilt combined with the pommel fittings, the lat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in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cannot be the origin of the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of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it is very likely that this style formed independently as a development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of the Korean Peninsula. Fourth, considering hilt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structures of the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and pommel fittings, the iron dagger production group can also be assumed to have succeeded the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other words, the iron dagger production group can be understood as developing from the existing Korean Peninsula-type slender bronze dagger production group through the acceptance of iron technology.

Ⅰ. 머리말
Ⅱ. 검병의 관찰
Ⅲ. 비파형동검 검병의 구조와 계통
Ⅳ. 세형동검 검병의 구조와 형성과정
Ⅴ. 비파형ㆍ세형동검의 검병 변천과 그 의미
Ⅵ.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