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과 몽골 대학생이 발음한 영어 설측음의 이음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f American English /l/ Variation Produced by Korean and Mongolian
최정훈 ( Choi Chung Hun ) , 강용순 ( Kang Yong Soon )
인문과학 85권 265-298(34pages)
DOI 10.31310/HUM.085.07
UCI I410-ECN-0102-2023-000-000584690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몽골인의 설측음 영어발음 분석을 토대로 외국인 화자의 영어 발음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영어 설측음 /l/이 단어내의 위치에 따라 밝은 /l/과 어두운 /ɫ/로 발음되는 조음상의 특징을 음향 분석의 항목인 F1, F2, F2-F1의 차이, 설측음 길이(Duration) 그리고 마찰강도(Intensity)를 프랏(Praat)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의 참가자들이 발음한 미국영어의 설측음은 단어의 음운환경, 인접한 모음의 영향 그리고 개인의 음성적 실현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각 모국어의 설측음 발성의 특징적인 조음방법이 음소 /l/의 전이(Transfer)와 간섭(Interference)의 현상으로 참가자들의 영어 설측음 발화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인은 한국어 설측음의 조음 특징인 구개음화(Palatalization)의 영향으로 밝은 /l/발음이 더 정확하였고, 몽골인은 마찰음이 혼합된 몽골어 설측음의 조음 방식인 인두 강 협착(Pharyngeal constriction)과 그와 동반한 연구개음화(Velarization)의 영향으로 어두운 /ɫ/을 더 정확하게 발음하였다. 설측음 길이에 대한 변별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몽골어 설측음의 특이한 협착과 마찰성의 영향으로 몽골인이 한국인보다 센 마찰강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국어의 간섭이 영어 설측음 발음을 다양하게 실현하는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non-natives’ English /l/ pronuncia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tongue. Cross-linguistically, laterals show various articulatory and acoustic patterns. To be more specific, the current study compared the production of /l/ sound by Koreans and Mongolians.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of 16 subjects (8 Koreans and 8 Mongolians) and analyzed them using Praat. The results show that 1) Koreans showed high F2 and relatively low F1, probably influenced by ‘palatalization’ of Korean while Mongolians showed higher F1 and lower F2, originated from tongue backing for ‘pharyngeal constriction’ and ‘velarization’ in Mongolian [ɮ]. 2) Mongolians showed less F2-F1 difference than Koreans, particularly in postvocalic-/l/ position, implying Mongolians articulated dark /ɫ/ more accurately than that of Koreans. 3) Koreans’ duration of /l/ was slightly longer than Mongolians except for prevocalic-/l/. 4) As for intensity, Mongolian was considerably high.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English pronunciation of non-natives is interfered by their native language.

Ⅰ. Introduction
Ⅱ. Articulatory Distinction of Laterals: English, Korean and Halh Mongolian
Ⅲ. Methodology
Ⅳ. Results and Acoustic Analysi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