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코로나19 확산이 국민연금 가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coverage of the National Pension Scheme
류재린 ( Jaerin Ryu ) , 문현경 ( Hyungyung Moon )
UCI I410-ECN-0102-2023-300-000601946

본 연구는 국민연금 가입 측면의 불안정성에 노출된 집단을 파악하고, 국민연금 DB를 이용해 코로나19 확산 전후의 국민연금 가입자 규모 변화 및 가입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이들의 불안정성이 더욱 심화했는지 살펴봤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국민연금 가입 지표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확산의 영향 및 회복 정도는 집단별로 달랐으며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국민연금 가입 측면의 불안정성이 높았던 집단(소규모 사업장 가입자, 지역 소득신고자)가 더욱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준소득월액 수준, (당월) 징수율 등 몇몇 가입 지표는 코로나19 확산 전후 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19가 확산되며 일부 취약계층이 납부예외자나 적용제외자로 전환되면서 보험료 부과 대상자 중 징수율이 높은 집단의 비중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론된다. 넷째,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존에 가입 이력이 안정적인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 간 가입 기간 격차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 결과들은 국민연금 불안정성에 노출된 집단 대상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nalyzing pension coverage indicators drawn from the NPS database, this study explores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the insured i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NPS) and their coverage pattern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verage indicators demonstrate that the rigidity of the labor market has still continued since the emergence of the pandemic. Second, the extent to which the insured have been impacted and resilient amid COVID-19 varies according to their coverage groups in the NPS. In particular, existing vulnerable groups in the scheme (e.g. workplace-base insured persons employed in smaller-sized workplaces, individually insured persons reporting incomes, etc) are more affected during the pandemic. Third, several indicators such as standard monthly incomes and the collection rate of contributions have either maintained the status quo or even improved since the COVID-19 crisis. This does not necessarily imply a positive sign since some vulnerable groups are likely to be exem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s or ineligible throughout the pandemic, whereby they are not counted in calculating standard monthly incomes and the collection rate of contributions. Fourth, this study shows a larger gap in contribution densitie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between those who have had a better contribution record and those who have not. The aforementioned findings call for the need to introduce more active policies for the vulnerable groups exposed to long-term precariousness in the NPS.

Ⅰ. 서 론
Ⅱ. 코로나19 확산과 노동시장, 그리고 국민연금제도
Ⅲ. 코로나19 확산 전후 국민연금 가입자 규모 변화
Ⅳ. 코로나19 확산 전후 국민연금 가입 특성 변화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