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1
216.73.216.51
close menu
애착 이론을 통해서 본 애착유형의 특징과 불안정애착(D Type)으로 인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ttachment Types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aused by Unstable Attachment(D Type) through Attachment Theory
변상규 ( Byun Sangkyu )
UCI I410-ECN-0102-2023-100-000608232

이 논문은 애착 이론의 창시자인 존 볼비가 그의 학문적 동반자였던 메리 에인스워스가 만든 낯선 상황 실험(SSP)의 형성 과정을 통해 안정애착과 불안정 애착의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안정적이지 않은 애착의 유형 중 D type(혼란/비통합적) 유형이 경계선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한다. 애착 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비롯되었지만, 보울비는 그의 이론에 추상적인 측면 대신 경험적이고 실험적인 측면을 적용했다.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주된 학문적 근거로 삼은 자아심리학자인 안나 프로이트와 대상관계이론의 어머니로 알려진 멜라니 클라인은 아동의 정신분석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이들(자아심리학자)은 볼비의 애착이론이 정신분석을 행동주의로 바꾼 이론이라며 영국 정신분석학회에서 퇴출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지금 애착 이론은 정신분석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이론이 되었고, 특히 임상적 환경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애착이론은 뇌 연구, 학습이론, 감정 이론 등 학문 분야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 애착이론은 경계선 장애 등 불안한 애착을 형성한 사람들이 이 이론을통해 보다 확실한 애착을 가질 수 있도록 인간의 삶 전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formation and features of both secure attachment and unsecure attachment through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ttachment theory started by John Bowlby and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 created by Mary Ainsworth, who was Bowlby’s academic companion. In particular, it stresses that among the types of unsecure attachment, the disorganized/disoriented type is closely associated with borderline disorder. Although attachment theory originated from Freud’s psychoanalysis, Bowlby applied the empirical and experimental aspects of psychoanalysis to his theory instead of its abstract aspects. Anna Freud, the ego psychologist whose main academic basis was Freud’s psychoanalysis, and Melanie Klein, who is known as the mother of object relations theory, were polemical debaters on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They even argued that Bowlby’s attachment theory was a theory that transformed psychoanalysis into behaviorism and that he should be expelled from the British Psychoanalytic Society. However, now that the years have passed, the attachment theory has become a theory showing the diversity of psychoanalysis, and is known as a very useful theory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in clinical settings. Attachment theory opens up various possibilities for academic areas such as brain research, learning theory, and emotion theory. It can be said that attachment theory shows us a new paradigm of human understanding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uman life so that people who have formed insecure attachment, including borderline disorder, have a more secure attachment through this theory.

Ⅰ. 들어가는 글
Ⅱ. 간략히 살펴본 Bowlby의 생애
Ⅲ. Bowlby의 애착(Attachment)의 정의
Ⅳ. 애착이론에 관련된 핵심 용어
Ⅴ. 애착 이론에 영향을 준 여러 전제들
Ⅵ. 정신분석학과 애착 이론
Ⅸ. 와해/혼돈 불안정 애착 유형(D type)으로 인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심리적 특징들
Ⅹ. 치료적 측면
Ⅺ.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