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고전요가의 삼매 분류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Samādhi Classification in Classical Yoga
박효엽 ( Park Hyo-yeop )
동아시아불교문화 50권 191-216(26pages)
DOI 10.21718/EABC.2022.50.07
UCI I410-ECN-0102-2023-200-000617261

고전요가의 체계에서 유상/무상 삼매와 유종/무종 삼매의 분류 방식과 관련하여 대부분 학자들은 유상과 유종을 동일한 것으로 또 무상과 무종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의외로 그 복잡한 관계에 대해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정승석은 일본학자들의 삼매 분류를 검토하고 그 한계를 지적하면서 ‘유종(유상+무상)→무종’의 단계를 보여주는 새로운 삼매 분류를 제시했다. 유종과 무종을 중심으로 하는 이 분류에 따르면, 유상보다 유종의 대상적 범위가 더 넓고 무종이 무상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최종적 삼매로 간주된다. 정승석의 삼매 분류와는 달리 최종적 삼매인 무종을 무상에 포함함으로써 ‘무상 삼매 ≧ 무종 삼매’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안적 분류가 가능하다. 이 분류는, 고전요가의 이원론에서 핵심적인 삼매가 유상/무상이고 두 쌍의 구분이 우월관계를 내포하지 않는다는 견지에서, 유종/무종 중심이 아니라 유상/무상 중심으로 삼매에 접근한다. YS와 YSBh에 등장하는 삼매에 관한 불명료한 진술은 ‘유종으로서의 무상’과 ‘무종으로서의 무상’을 구분하는 대안적 분류를 통해 삼매를 이해할 때 상대적으로 더 명료하게 읽힐 수 있다. 대안적 분류는 기존의 분류에 비해 두 가지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먼저 이 분류는 9번째 지분과 같은 초삼매를 상정하지 않은 채 8번째 지분의 범위 내에서 유상/무상의 삼매와 유종/무종의 삼매를 모두 설명함으로써 8지분을 표방하는 고전요가의 체계 전체와 더 정합적이다. 그다음으로 이 분류는 삼매의 두 쌍이 한편으로 분리되고 한편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 상보적인 관계를 암시하는 고전요가의 의도를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 쁘라끄리띠와 뿌루샤의 이원론적 형이상학과 실천론에서 유상/무상은 심리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삼매 분류이고 유종/무종은 구원론적인(해탈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삼매 분류일 가능성이 크다.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samprajñāta/asamprajñāta samādhi and sabīja/ nirbīja samādhi in the Classical Yoga system, most scholars consider samprajñāta and sabīja to be the same and asamprajñāta and nirbīja to be the same, and surprisingly pay little attention to the complex relationship. Jung Seong Suk examined Japanese scholars’ samādhi classifications pointing out their limitations, and suggested a new classification that shows the stage of ‘sabīja(samprajñāta + asamprajñāta) → nirbīja.’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centered on sabīja and nirbīja, the target range of sabīja is wider than samprajñāta and nirbīja is considered the final samādhi, one step further from asamprajñāta. Unlike Jung Seong Suk’s samādhi classification, by including nirbīja, the final samādhi in asamprajñāta, alternative classification is possible to show the relationship of ‘asamprajñāta samādhi ≧ nirbīja samādhi.’ This classification approaches samādhi centered on not sabīja/nirbīja but samprajñāta/asamprajñāta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core samādhi is samprajñāta/asamprajñāta in the dualism of Classical Yog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pairs does not imply a superior relationship. The unclear statements about samādhi in YS and YSBh can be read relatively more clearly when understanding samādhi through alternative classification that distinguishes ‘asamprajñāta as sabīja’ and ‘asamprajñāta as nirbīja’. Alternative classification has advantages in two aspects compared to existing classification. First, by explaining both samprajñāta/asamprajñāta and sabīja/nirbīja samādhi within the scope of the 8th limb without assuming ‘trans-samādhi’ such as the 9th limb, this classification is more consistent with the entire Classical Yoga system that advocates eight limbs. Second, by showing that two pairs of samādhi are separated on the one side and combined on the other side, this classification relatively better reflects the intention of Classical Yoga that impli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the dualistic metaphysics and practice theory of Prakṛti and Puruṣa, samprajñāta/asamprajñāta is likely to be a samādhi classification that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sabīja/nirbīja is likely to be a samādhi classification that emphasizes the soteriological aspect.

Ⅰ. 서론
Ⅱ. 삼매 분류에 대한 여러 견해
Ⅲ. 대안적 분류와 그 증거들
Ⅳ. 대안적 분류의 장점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