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항목의 BIM기반 효율성 검토
BIM-based Efficiency Review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Items
강경하 ( Kang Kyung-ha ) , 손병훈 ( Son Byeung-hun ) , 소승영 ( So Seung-young )
UCI I410-ECN-0102-2023-500-000620441

본 연구는 BF인증 평가방식의 BIM기반 검토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BIM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건축물의 용도를 초등학교로 제한하여 BF인증 평가항목의 의무시설을 평가기준에 맞게 도출하는 것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94개의 평가항목 중 6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시설은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이었으며 1차 조사는 BF인증 평가항목의 세부산출기준을 제공하고 BIM기반의 검토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31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마지막 2차 조사에서 현행 CAD기반의 평가방식과 BIM기반의 평가방식의 효율성 정도를 물어 도출된 평가항목 중 96.8%가 BIM기반의 평가방식이 더 효율적임을 나타내었고, CAD기반의 평가방식은 단 1개의 평가항목인 3.2%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BIM experts as a basic stud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BIM-based review of the BF certification evaluation method. By limiting the buildings to elementary school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mandatory facilities from the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and 63 out of a total of 94 evaluation items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facilities were intermediary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facilities. The second survey provided detailed calculation criteria for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through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BIM-based review, 31 items were derived. In the 3rd and final survey, when ask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CAD-based and BIM-based evaluation methods, the BIM-based evaluation method showed 96.8% effectiveness and the CAD-based evaluation method showed 3.2% effectiveness.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전문가집단 설문조사를 통한 BF인증 항목 도출
4. BF인증의 BIM기반 효율성 검토를 통한 평가항목 도출
5. 결 론
요 약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