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특수교육보조인력 업무와 명칭에 관한 인식
Cognition about the Roles and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between Special Education Related Professionals
조홍중 ( Hong-joong Cho ) , 전리상 ( Lee-sang Chon )
DOI 10.34262/kadd.2021.25.1.280
UCI I410-ECN-0102-2023-500-000630469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인력’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보조인력’의 업무와 명칭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개 시·군의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들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48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비율분석, 기술적 통계분석, t-검정 등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분석을 위해 SPSS WIN 18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관해서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육실무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위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이 하지 않아야 할 업무’에 있어서 수업, 학생지도, 평가, 상담, 행정 등에 있어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있어서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육보조인력’, ‘특수교육실무사’, ‘특수교육실무원’ 등의 명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교육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 ‘특수교육보조인력’ 업무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동시에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각 교육청 간의 상이한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 통일의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gnition about the roles and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ides. To achieve the study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ides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Of the questionnaires returned, unfaithful responses were excluded and 148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d ratio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for gender-specific cogn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between special education assistant and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 Second, for position-specific cogn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Third, for roles a special education aide should not do,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student guidance, evaluation, counseling, and administration. Forth, for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 special education aide,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 and special education worker. Base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finitely understan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aide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Moreover, further researches o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should be conducted to suggest the grounds on the united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which is different between educational offic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