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성용 ( Seong-yong Yi )
DOI 10.34262/kadd.2021.25.1.239
UCI I410-ECN-0102-2023-500-000630449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이들을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편의표집으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C도의 특수교사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았고, 통계에서도 유의하였다. 셋째, 담당학년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중등교육(중학교 및 고등학교) 담당 특수교사가 초등교육 담당 특수교사보다 다소 높았고, 통계에서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 방안(전문적학습공동체, 맞춤형 연수, 교수효능감 척도 활동, 예비특수교사 단계에서의 교육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method is survey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03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in “C”-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PC program (ver 25.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teaching efficacy level was positive level (M=2.99).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eaching efficacy score between man teachers and woman teacher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eaching efficacy score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ese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교수효능감 척도(권혁일, 2017)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