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델파이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장애학생 전환능력검사 문항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for Hig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Delphi Method
최민식 ( Min-sik Choi ) , 김라경 ( Rah-kyung Kim ) , 송승민 ( Seung-min Song ) , 배세진 ( Se-jin Bae ) , 박희찬 ( Hee-chan Park )
DOI 10.34262/kadd.2021.25.1.80
UCI I410-ECN-0102-2023-500-000630378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기 삶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전환능력검사 개발 초기 과정으로서 문항 개발을 통하여 예비조사를 위한 문항을 준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도구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및 직업교육, 검사 개발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4개 영역(자립, 직업, 계속교육, 공통), 15개 하위영역, 139문항에 대하여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환능력검사의 영역, 하위영역,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내용타당도 비율(CVR), 수렴도와 합의도를 분석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한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영역의 중요도는 평균 4.75, 적합도는 평균 4.57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역시 중요도 평균 4.70, 적합도 평균 4.47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낮은 문항은 전문가 의견을 함께 반영하여 수정, 삭제, 추가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립영역(자기관리, 가정생활, 건강, 돈 관리,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영역(직업준비, 직업기능, 직업생활), 계속교육영역(기초교육, 평생교육, 대학교육), 공통영역(의사소통, 대인관계, 자기결정)의 4개 영역, 15개 하위영역, 114개의 예비조사를 위한 예비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생활에서의 성과 및 목표를 고려한 종합적 전환능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타당도를 확보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reliminary vali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to systematically prepar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adult lif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related transition tools in four areas (independence, vocation, continuing education, common), a Delphi survey questionnaire(i.e. 139 questions in 15 sub-areas)was develope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20 experts who ha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ortance and suitability,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for areas, sub-areas, and questions of the transition assessment tool and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responses. 2 rounds of Delphi survey results using a Likert 5-point scale showed an average importance score was 4.75 and average suitability score was 4.57. The sub-areas were also high with an average importance of 4.70 and a suitability average of 4.47. The low content level of the questions were revised, deleted, and added to the expert opinion. Through this process,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for four areas of independent living (self-management, family life, health, money management, community life, leisure life), vocational areas (job preparation, vocational functions, vocational life), continuing education (basic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common are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15 sub-areas, and 114 preliminary ques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transition competence assess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erformance and goals of adult life of high students with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타당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예비조사 문항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