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에게 특수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치료들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아동들에게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아동들마다 치료에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인다. 기존의 치료들에서 효과를 보지 못한 부모들은 대안적 치료법에 의존하게 된다.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안적 치료법 중 하나로 한방치료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선정 기준을 만족한 22개의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폐범주성장애를 위한 한방 치료에 관한 연구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러한 연구들에서 자폐범주성장애인을 위한 한방 치료 효과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실험적 근거가 제시되었는지 검증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비록 한방 치료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임상 연구 결과들이 있었지만, 연구 방법론상의 문제점과 적은 사례수로 인해 아직까지 한방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실험적 근거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Currently, various treatments besides special education are provided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owever, the treatments are not effective for all children as each child responds differently to the treatments. Parents who have not seen positive effects with existing treatments become to rely on alternative treatments. One of the alternative treatments practiced in Korea is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this study, existing literature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SD was examined. Twenty-two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search types on this topic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earch provided experimental evidence for validating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ASD.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sults of clinical studies show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ymptoms of children with ASD, there was still insufficient experimental evidenc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due to research methodological flaws and small sample siz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