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안에서 가정폭력피해자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내 결혼이주자에 대한 법적인 보호와 이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혼인과 이혼 비율과 함께 가정 폭력의 피해 현황과 폭력유형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은 다문화가정 자체가 안고 있는 사회적·문화적 특이성에 해당되며 다문화가정 폭력 관련법 개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위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폭력에 대한 사례공유와 다문화가정의 자조모임 활성화에 따른 상담사 등 참여로 가정 안에서 겪고 있는 문제 파악과 함께 다문화관련법 제8조에 나타나고 있는 가정폭력방지와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다문화가정 내 가정폭력을 예방을 위한 가정폭력에 대한 지원으로 ‘~할 수 있다’를 ‘~해야 한다’로 수정으로 다문화가정 폭력 피해자에 대한 법적 의무지원으로 언어적 문화적 부적응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legal protection for marriage 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 measure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violence and types of violence along with the marriage and divorce rat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corresponds to the social and cultural peculiar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mselves, and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multicultural family violence related law.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Protection of Victims, etc. In Article 8 of the Multicultural Act, The family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long with the sharing of cases of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participation of counselors, etc. Support to overcome linguistic and cultural maladjustment should be provided as legal mandatory support for victims of multicultural domestic violence by modifying ‘can do’ to ‘should’ as support for domestic violence to prevent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