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주요 농업기계별 사고 발생 현황
Occupational injuries and damages by type of agricultural machinery
이민지 , 최동필 , 김경수
UCI I410-ECN-0102-2023-500-000736006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연구의 목적 농업기계 사고 예방 대책 마련 및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가승인통계인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농업기계별 사고 발생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21년에 조사된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20년 한 해 동안 농업인이 경험한 농업기계 관련 손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전국 12,000 표본 농가대상 면접식 설문조사로, 휴업 1일 이상이 발생한 손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전국 농업인 대상 추정치를 적용하여 농업인수, 업무상 손상건수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농업기계 관련한 사고 발생상황 및 발생형태에 대한 상세분석은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고 손상자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2020년 한 해 동안 농업기계를 사용한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50대 미만(12.08%), 50대(20.97%), 60대(33.41%), 70세 이상(33.54%)이었으며, 농업기계로 인한 손상자의 연령대별 분포는 50대 미만(2.06%), 50대(18.31%), 60대(33.25%), 70세 이상(46.37%)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농업기계 사용자 중 대부분이 60대 이상 고령자(66.95%)이며, 고령자일수록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주요 농업기계 종류별 손상 현황으로는 경운기(34.97%), 예취기(17.16%), 트랙터(12.34%), 관리기(6.22%)의 순으로 경운기가 전체 농업기계 중 가장 많았다. 손상자 표본을 대상으로 상세 분석한 농업기계 관련 사고의 발생상황으로는 농작업 중(50.0%), 농작업 관련 이동 중(34.80%), 농기계 관련 점검/정비 중(5.8%)의 순이었으며, 주요 농업기계 중경운기의 경우, 농작업 관련 이동중(66.7%)에 발생한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발생형태는 승용농업기계 단독 운전사고(34.10%), 부딪힘(10.90%), 물체에 맞음(10.10%)의 순이었으며, 경운기의 경우, 승용농업기계 단독 운전사고(68.4%)가 가장 높았다. 결론 농업기계 관련 사고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 농업기계, 사고 발생상황 및 발생형태 등이 고려된 예방 우선순위에 대한 도출이 가능할 것이며, 디지털 농업시대를 맞이하여 농업기계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연령대별 농업기계 사고 현황 등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