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비교 평가
A Comparative Usability Evaluation of Fast Food Kiosk Interface Using AI based Speech Recognition for Elderly Users
김유빈 ( Youbin Kim ) , 남양희 ( Yanghee Nam ) , 강민정 ( Minjung Kang )
DOI 10.37254/ids.2022.03.59.09.99
UCI I410-ECN-0102-2023-600-000482615

연구배경 뉴노멀 시대, 중위고령층의 경우 인지적, 심리적 특성으로 인해, 무인결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비대면 주문방식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사용성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양방향으로 상호작용하여 작동을 이끄는 음성인식 기술을 키오스크에 접목하여 고령친화적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AI 무인결제시스템을 통한 고령친화 접근의 유용성에 대해 고찰하고, 기존 패스트푸드점의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와 AI 음성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관찰평가를 통해 사용의 효율성과 사용의 효과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의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AI 음성인식 모드가 일반 모드에 비해 사용 소요시간이 짧았고, 오류 횟수도 적게 나타났으며 실수 극복 소요시간도 빨랐다. 사용의 효과성 측면에서 AI음성인식 모드가 인지성, 이해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최초성공률은 일반 모드에 비해 2배 이상의 낮았다. 사용의 만족도 측면에서는 발음 인식의 오류, 목소리 크기로 인한 오류, 메뉴명을 외워야하는 부담감 등으로 인해 AI 음성인식 키오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좌절감을 주었고, 휴대폰 사용방식과 기존 키오스크 사용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인해 친숙성도 낮게 나타났다. 반면 AI 음성인식 모드가 AI 캐릭터의 단계별 가이드, 부연 설명, 친근한 화법 등으로 인해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결론 고령층 사용자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AI 음성인식 서비스에 대해 접근함으로써 향후 AI 키오스크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AI 음성인식 서비스를 접목한 키오스크 상용화를 위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는 고령층의 키오스크 사용성 및 접근성 향상할 수 있는 범용적인 AI 키오스크 개발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Nowadays, elderly faced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payment system using kiosks due to their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adopted a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leads interactive communication into the kiosk and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I based speech recognition as an elderly-friendly solution. Methods We produced two prototypes which are typical interface of existing kiosks and new typed interface of AI based speech recognition kiosk. Through user observation for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kiosks, we fou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iciency of use and the effectiveness of use. Also, we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us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nd discussed future improvements of the AI based speech recognition kiosk. Results In terms of efficiency of use, the AI mode took less time to use than the typical mode, had fewer errors, and took longer to overcome mistake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use, the AI mode showed hig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but the initial success rate was lower than the general mode.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AI mode gave high frustration due to errors of pronunciation recognition and the volume of voice. Familiarity was low because of the burden of memorizing menus. On the other hand, the AI mode showed high favorability due to the AI character's step-by-step guide, and friendly explanation. ˛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future AI based speech recognition and suggested improvements th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kiosk for the elderly. The comparative results will be applicabl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research.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 설계
4. 사용성 비교평가 결과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