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07.11
18.219.207.11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 e-교과서 사용 실태와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al Education E-textbook Usage Status and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한경임 ( Han Kyung Im ) , 정예설 ( Jeong Ye Seol )
DOI 10.33770/JEBD.38.1.1
UCI I410-ECN-0102-2023-300-000482156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e-교과서의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특수교사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남, 부산, 울산, 전남 지역의 초·중등 특수교사 14명이었으며, 반구조화 면담에 의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 e-교과서는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으며, 활용도가 낮았다. 교사들은 교과서 재구성 및 학습 자료 재가공이 가능하도록 e-교과서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감형 자료를 이용한 활동 중심 수업이 가능한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셋째,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한 고려 사항으로 보편적학습설계 기반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원활한 형식과 아카이브 체제 구축, 그리고 디지털교과서 사용을 위한 물리적 교육 환경 조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al education e-textbook usages status, and digital textbook’s develop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Gyeongnam, Busan, Ulsan, and Jeonnam. The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e-textbooks for special education were difficult to us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ir utilization was low. Teachers demanded the improvement of e-textbooks to enable the textbook reconstruction and remaking of learning materials. Second, teachers argu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special education that enable blended learning and activity-oriented classes using realistic materials. Third,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the considerations were curriculum reorganiz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archive system, and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for us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special education.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