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법인세의 기업투자 효과 분석 - 한계 및 평균실효세율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Effects of Corporate Tax Burden on Firm Investment - Marginal and Average Effective Tax Rates -
황상현 ( Sanghyun Hwang ) , 설윤 ( Youn Seol )
재정정책논집 24권 1호 85-116(32pages)
DOI 10.37103/KAPP.24.1.3
UCI I410-ECN-0102-2023-300-000482136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1986∼2012년 기업별 법인세 부담을 평균실효세율과 한계실효세율로 추정한 후, 동태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법인세 부담이 기업들의 투자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평균실효세율을 이용한 세부담은 다양한 추정방법에서 평균실효세율의 1%p. 증가는 기업의 총자산대비투자를 약 1.3%p. 감소시키고, 한계실효세율의 경우 총자산대비투자를 2.7%p.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어 세부담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분할하여 살펴본 실증분석 결과에서 평균실효세율을 이용한 세부담의 투자효과는 대기업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실효세율로 측정된 세부담은 대기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한계실효세율의 투자 감소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비과세·감면 축소 등을 통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 대한 법인세 부담을 증가시키는 법인세 정책 방향은 좀 더 재고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Korean firm-level data from 1986 to 2012,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corporate tax burden on firms’ investment and gives policy implications. We estimate an average and marginal effective tax rate and, then, construct an investment model based on Tobin’s Q which is present in form of an unbalanced dynamic panel regression model. Our empirical results are compared to the first-step and the second-step estimation across these two estimation methods.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view of using a marginal effective tax rate. For the various estimation results, we confirm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and for more concretely if the average or the marginal effective tax rate increases by 1%p., then the ratio of investment to total asset decreases by 1.3%p. for the average effective tax rate and 2.7%p. for the marginal effective tax rate. For comparison between Large and S&M enterprise, the effects of corporate tax burden on investment are presented for both.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자료와 모형
Ⅳ. 법인세의 기업투자 효과 분석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