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이 가지는 장소성 형성요인이 관광객의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지역 주민의 참여가 장소성 형성요인과 행위의도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모형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성 형성요인 중 물리적 요인과 행태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부분적으로 관광객의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민참여는 장소성 형성요인과 행위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유휴공간 활용시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유휴공간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factors that form the spatiality of an idle space a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and to confirm the role of local participation between the spatiality-forming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ravelers was gathered and the study model was put to the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factors, behavior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touris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local participation partiall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patiality-forming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local participation and the measures were discussed when using the idle space, and it wa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targeting various idle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