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아동문학 자료의 DB현황과 목록 작업의 실태를 파악하여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제기한다. 체계적인 아동문학잡지, 신문, 단행본 자료의 DB화 구축을 위해 『어린이』 잡지부터 옛이야기 DB화와 목록화를 시도하고, 어린이 콘텐츠 개발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2015년 『어린이』 잡지의 목록 작업을 통하여 산출한 결과를 토대로 옛이야기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어린이』 잡지에서 옛이야기는 표제어가 45개에 달할 정도로 다양한 장르명으로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옛이야기 연구에서 옛이야기만을 표제어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다면 대단히 지엽적인 연구 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아동문학 DB화와 목록화 작업이 시급하다.
이 논문에서 『어린이』 잡지 목록을 통하여 얻은 성과를 토대로 현대 어린이 콘텐츠를 개발을 시도하였다. 현대의 콘텐츠는 동화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영상콘텐츠로 구현하거나 동화의 재해석을 통한 단행본들이 생산되었다. 새로운 콘텐츠 개발 방향으로 『어린이』 잡지에 수록된 ‘지역이야기’를 바탕으로 <조선 13도 고적탐승말판>을 활용하여 놀이를 체험하면서 지역의 이야기를 배우고 지리적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콘텐츠로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실감형 VR콘텐츠를 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에 온라인 탐방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경기관광공사와 경주문화관광에서 제작된 360VR체험을 활용하였다. 실감형 VR 콘텐츠에는 시각적인 효과만 제공되고 있어, 『어린이』 잡지에 수록된 이야기를 들려주어 시각적, 청각적 탐방을 시도하여 온라인여행의 재미를 더하고자 한다. 『어린이』 잡지에 수록된 옛이야기, 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 어린이를 위한 흥미 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B of Eorini(어린이, Children)’s literature material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taloging work. It raises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sporadically performed work. In order to establish a database of systematic Eorini(어린이,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newspapers, and books, it is suggested to try to catalog and catalog Eorini(어린이, Children)’s magazines.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sults calculated through the cataloging of Children magazine in 2015, it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ld stories. In Eorini(어린이, Children) magazine, old stories are distributed under various genre names, with 45 headwords. Therefore, in the study of old stories, if only old stories are used as the headword to conduct research, very local research results can only be obtained. Therefore, for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DB and cataloging work are urgently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orini(어린이, Children) magazine catalog, modern Eorini(어린이, Children)’s contents were developed. The current content was implemented as video content based on the story of the fairy tale, or books were produc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fairy tale. As a new content development direction, we plan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learn local stories and develop a sense of geographic location while playing with the < Chosun 13 Province visit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a game board > based on the ‘local stories’ recorded in the Eorini(어린이, Children) magazine. In addition, we plan to produce realistic VR content and use it as an online tour in the COVID-19 pandemic. In fact, the 360 VR experience produced by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was used. Since only visual effects are provided for immersive VR contents, we want to add to the fun of online travel by telling stories from Eorini(어린이, Children)’s magazines to try visual and auditory explo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esting and useful contents for modern children by actively utilizing the old stories and games contained in theEorini(어린이, Children)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