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후보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관계에서 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sistance and Job Stress between Acceptance and Flourishing in Organizational Change
이현주 ( Lee Hyun-joo ) , 정승철 ( Jung Sung-cheol )
벤처혁신연구 4권 3호 89-108(20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512811

본 연구는 조직의 변화과정 이후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수용성, 직무스트레스, 번영에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변화수용성은 번영감에 정(+)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번영에 부(-)의 영향을, 직무스트레스는 번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직변화저항의 완전매개효과를, 조직변화저항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stance and the job stress between the acceptance and the flourishing in organizational change. The survey has executed on 300 employees.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lourishing, negatively to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job stress.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stress, negatively to the flourishing. The job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flourishing.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meditating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and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The job stress on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partially mediated as well as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double meditated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한계점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