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rganizational Silence
김주현 ( Kim Joo-hyun ) , 정우진 ( Jeong Woo-jin ) , 정승철 ( Jung Sung-cheol )
벤처혁신연구 4권 1호 67-86(20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512664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covert narciss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identify the (Duel)mediation effects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is study used a survey of 393 office workers to measure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23 and SPSS PROCESS macro in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nd all of them showed adequat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each variables. Next, the mediating model was verified by mediat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not verified and the avoidance motiv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were gradually mediated through the (Duel)mediation effects model, and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not on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ut also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한계점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