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복합외상아동을 위한 정서조절 초점 인지행동치료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 및 사례 연구
Effect and Case Study of Emotional Regulation 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Complex PTSD
이은경 ( Lee Eun-kyung ) , 구훈정 ( Koo Hoon-jung )
청소년학연구 28권 12호 405-436(32pages)
DOI 10.21509/KJYS.2021.12.28.12.405
UCI I410-ECN-0102-2023-300-000520597

본 연구는 아동학대로 신고된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복합외상 아동 청소년 대상 정서조절 초점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치료적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학대 신고 후 학대 판정받은 피해 아동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간이증상척도(BSI-18), 분노척도, 부적응적 자동적 사고 척도, 복합외상 척도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 후의 변화양상을 양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조절 능력의 증진을 보였으며, 정서조절을 위한 전략인 부적응적 자동적 사고,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참가자 중 한 명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내에서 변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수가 적고 정서조절 초점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는 통제집단이나 비교집단이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바, 이후 보다 많은 사례 및 비교연구를 통해 본 치료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이 필요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that focuses on emotional regul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that helps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been reported as child abuse hav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to verify its therapeutic effectiveness. After reporting child abuse, the simple symptom scale (BSI-18), anger scale, maladaptive automatic thinking scale, and complex trauma scale were applied to 9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ere judged to be abused and chang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quantitatively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improved, and the symptoms of maladaptive automatic thinking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hich are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the pattern and meaning of change within the program were examined for the case of one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cases is small, and there is no control group or comparison group that can compare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focu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program through more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stud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