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사의 좌절된 소속감과 군생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군생활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육군부대 2곳에 복무중인 병사 32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와 PROCESS Macro 3.4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좌절된 소속감과 군생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군생활 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좌절된 소속감과 군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좌절된 소속감, 군생활 만족도, 군생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좌절된 소속감이 군생활 만족도를 매개로 군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써 좌절된 소속감이 군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사의 군생활 스트레스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a feeling of military life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thwarted belongingness and military life stress and to confirm whether self-efficacy h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at regulates these mediating effect. For the study, 323 soldiers from two army units located in D city were studi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nd PROCESS Macro 3.4 ver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litary life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military life stress. Second,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s a mong thwarted belongingness, military life satisfaction, and military life stress. This thwarted belongingness affects military life stress through the mediation of military satisfaction. However, by promoting self-efficacy, it means that thwarted belongingness can reduce the effect on military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the military life stress of soldier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