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2.133.20
3.142.133.2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jection, Interaction Anxious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최주영 ( Ju-young Choi ) , 주지현 ( Ji-hyeon Ju ) , 서경현 ( Kyung-hyun Suh )
청소년학연구 27권 7호 109-128(20pages)
DOI 10.21509/KJYS.2020.07.27.7.109
UCI I410-ECN-0102-2023-300-000518111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 있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생 353명(남:145명, 여:208명)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1.5세였다. 연구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모 수용-거부양육 질문지, 상호작용불안척도,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이 부모가 거부적으로 양육했다고 지각할수록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을 더 느끼고 스마트폰에도 더 중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상호불안을 많이 느낄수록 스마트폰에 더 중독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구조모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이 부모의 거부적 양육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이 사회불안 중 가장 병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je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verified the role of interaction anxiousness in the relationship.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53 college students (145 males and 208 females), with their average age being 21.5 years old. To measure the variables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PARQ),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APS-A) were used. Result indicated that the more college students perceived being rejected by their parents, the more they felt interaction anxiousness or become more addicted to smartphones. Also, the more interaction anxiousness they felt, the more they addicted to smartphones.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interaction anxiousness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je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are academically meaningful and clinically significant because interaction anxiousness is known to be the most pathological of interpersonal anxie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