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4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213명이다. 분석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학업중단 청소년 개인차원의 지원과 권리의식 증진, 가족의 지지,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등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on the depression among school dropout youths focused on the moderation of ego resiliency. For this, the raw data from 4th survey(2016)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Youth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analysis was 213 people who quitted the school.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Social stigma effects on depression positively and this was moderated by the ego resili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alleviate effects of social stigma on the depression among the school dropout youth. Implications were to improve the support for the school dropout youth, their consciousness of a right, the support of their families and social recognition about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