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이 중학생의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마음챙김 명상을 구조화해서 중학생에게 실시하였고 준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의 학생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24명이며 12명을 실험집단에 대기자 12명을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에게 마음챙김 명상을 6회기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 실험 종결 후 6명의 인터뷰 참여자를 선정해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으로 살펴보면 마음챙김 명상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의 걱정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지만 불안 수준의 감소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질적으로 살펴보면 마음챙김 명상 경험의 분석 결과로서 4개의 영역, 9개의 범주, 14개의 하위범주, 27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4개의 영역은 신체변화, 정서변화, 인지변화, 인식변화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reduction of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structured Mindfulness Meditation was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Twen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ho voluntarily applied for Mindfulness Medit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Twelve of them were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in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did six times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Inductive Analysis Approach, six interviewees were selected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reported more decreases in worrie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4 domains, 9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and 27 concepts are produced as the result of Inductive Analysis Approach. 4 domains were physical change, emotional change, cognitive change and cognitiv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ful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are discussed. Lastly the advices were suggested for the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