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다양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청소년의 자살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접근은 매우 부족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결중심실천가인 Insoo Kim Berg의 사례를 미시적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연구 질문은 ‘자살문제를 가진 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접근에서 치료자의 역할은 어떠한가?’였다. 연구결과로 총 40분의 대화로 이루어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작용을 대화의 주제로 나눴을 때 20개의 해결대화와 19개의 문제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20개의 해결대화에서 상담자에 의해 발화된 것은 17개였고, 19개의 문제대화에서 상담자에 의해 발화된 것은 8개였다. 해결대화의 주제는 문제 상황에 대한 예외의 탐색, 해결책 탐색, 해결책 명확화, 간접 칭찬, 그리고 내담자 강점 탐색 등이었다. 반면, 문제대화의 경우 문제 끌어내기, 문제 명확화, 그리고 문제 인정하기 등의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결중심치료를 활용해 청소년의 자살문제를 다룸에 있어 해결대화 뿐만 아니라 문제대화도 해결중심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해결중심치료에서 문제대화는 그 자체로서 기능하기보다, 해결대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활용됨을 의미한다.
Adolescent suicide is becoming a big social problem. More research is needed. Although research that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olution-focused therapy is increasing, solution focused studies dealing with adolescent suicide are ra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educational videotape named "I'm glad to be alive...”conducted by Insoo Kim Berg by using the tools of micro analysis and case stud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the therapist.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role of the therapist in the solution-focused approach to adolescents with suicidal ideation?' We found 20 solution talks and 19 problem talks when we divide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The therapist initiated 17 solution talks out of 20. The themes of the solution talks included exploring exceptions to problems, exploring solutions, clarifying solutions, indirect compliment, and exploring client strengt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oblem talks three themes were found: Identifying, clarifying, and recognizing problems. Findings indicate that problem talks should not be practiced in isolation but are most effective when put in operation together with solution talks in working with adolescents with suicid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