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관계지향 학급풍토, 학업적 정서조절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 552명의 자료를 사용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계지향 학급풍토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지향 학급풍토, 학업적 정서조절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로에서 학업적 정서 조절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졌다. 셋째, 학습자에 의해 지각된 관계지향 학급풍토, 학업적 정서조절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남녀학생 집단별 경로계수를 비교해 본 결과, 관계지향 학급풍토가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경로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계지향 학급풍토와 학업적 정서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lationships among relation-oriented class climate perceived by adolescents, thei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52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were conducted so 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oriented class climate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gender showed that the effect of relation-oriented class climate o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 the group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