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위기대처지수와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Adversity Quotient and Stress in University Student
정기수 ( Jung Ki-soo )
청소년학연구 24권 6호 231-251(21pages)
DOI 10.21509/KJYS.2017.06.24.6.231
UCI I410-ECN-0102-2023-300-000531390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위기대처지수를 그들이 느끼는 구직 스트레스와 관계하여 살펴보고 그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H대학교와 K대학교에서 무선표집한 28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위기대처지수와 구직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위기대처지수가 높은 학생들은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설에서 예측한대로 위기대처지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된 위기대처지수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부적응의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향후 활동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interaction between Adversity Quotient with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s designed to indicate Adversity Quotient and school-workㆍjob-seeking stress were administered to 287 university students in H university and K university. Results show that students who have high Adversity Quotient perceives less stress. However Adversity Quotient was irrelevant with stress coping strategy. Finally, I propose that the crisis model and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frequently in school mental health. And the various University-based crisi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ew limitations about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