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kinner, Johnson과 Snyder(2005)가 동기촉진적 관점에서 제작한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A)를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양육태도척도(PSCQ_KA)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 대구, 경기도의 3개 학교에서 수집한 남ㆍ여 중학생 507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따스함과 거부, 자율지지와 강요, 구조제공과 비일관성의 6요인 구조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사한 양육행동척도들과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PSCQ_KA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 6요인은 부모에 대한 신뢰,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불안에 대하여 유의미한 예측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PSCQ_KA의 예측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PSCQ_KA의 6요인 24문항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에도 타당하고 신뢰할만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SCQ_A(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Skinner, Johnson and Snyder(2005). The scale consisted of 24 items; 4 items for each 6 dimension of warmth, rejection, autonomy support, coercion, structure, and chaos. 507 Korean adolescents were recruited from 3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Incheon, and Gyeong-gi area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videnced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showing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imilar dimensions of two different scales of parenting behaviors.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by showing significant prediction effect of the 6 dimensions of PSCQ_KA on adolescents' trust in their parents and their 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SCQ_KA was confirm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measure their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