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권리의무확정주의? :세법상 손익인식기준으로서 폐기를 위한 시론
Could the Right Decision Basis be the Criteria for Tax Law?
김현동 ( Hyun-dong Kim )
DOI 10.21737/RAPS.2022.02.27.1.85
UCI I410-ECN-0102-2023-300-00052885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법인세법의 손익귀속시기에 관한 일반기준으로서 권리의무확정 주의는 실체가 불분명한 개념으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칙으로서 폐기하는 것을 주장하려는데 있다. [연구방법] 손익인식기준과 관련한 여러 이론을 살핀 후 현행 기업회계기준과 세법의 기준을 각각 살핀다. 세법상 손익인식기준의 주요 쟁점을 도출하여 주제별로 심도 있는 고찰을 한다. 법인세법 제40조 제1항의 해석론, 확정개념의 검토, 같은 법 시행령 제68조에서 제7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거래유형별 귀속시기 규정의 검토, 법인세법 제43조의 기업회계기준과 관행과의 관계 등을 논의한다. [연구결과] 권리의무확정주의를 폐기한다면 법인세법 제40조 제1항의 무리한 해석, 확정개념의 불명확성, 위임입법의 한계 일탈, 기업회계기준 및 관행과의 관계 등의 문제가 일시에 해소될 수 있다. 법인세법 제40조 제1항을 권리의무확정주의로 해석하지 않더라도 법령의 관련 규정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대부분의 거래형태에 관한 귀속시기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어, 자의에 의한 소득의 조작을 방지하여 공평을 달성하고 징세기술상으로 소득을 획일적으로 파악하여 징수할 수 있다. 한편, 법령의 정비사항으로 법인세법 시행령 제70조 제7항과 같은 법 시행규칙 제36조를 삭제가 필요하다. [정책적 시사점] 권리의무확정주의를 폐기하더라도 일반 이론의 부재로 인한 혼란은 예상하기 힘들다. 이미 법령에서 여러 유형별 손익의 귀속시기에 관한 기준을 밝히고 있고, 실정법이 규정하지 못하는 새로운 거래에 대해서는 세법이나 기업회계가 터 잡는 실현주의의 테두리 안에서 손익귀속시기를 정하면 된다. 특히 기업회계기준을 보충적으로 활용하여 판례나 법령의 정비 가 완료되기 전에 준거기준으로 일정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the principle of determina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as a general standard for the period of profit and loss attribution of the Corporation Tax Act is not clear. [Methodology] After reviewing the theories related to profit and loss recognition standards, th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and tax law standards are examined respectively. Under the tax law, the main issues of profit and loss recognition standards are derived, and in-depth consideration is carried out for each subject. Discuss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Article 40(1) of the Corporation Tax Act, the definitive concept, the time of attribution of each type of transaction prescribed in Article 68-7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AP and practices. [Findings] Abolishing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rights and obligations will solve problems such as unreasonable interpretation of Article 40(1) of the Corporation Tax Act, uncertainty of the definition concept, deviation from the legal limits of delegation. Even if Article 40(1) of the Corporation Tax Act is not interpreted as a deterministic principle of rights and obligations, the period of attribution of most transactions that occur frequently can be specified. On the other hand, Article 70(7)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ion Tax Act and Article 36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same Act are required to be deleted as matters to be amended. [Policy Implications] Even if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rights and obligations is abolished, confusion caused by the absence of general theory will be difficult to predict. The statute has already clarified the timing of profit and loss attribution by type, and the timing of profit and loss attribution can be determined within the realization of tax law and GAAP. In particular, GAAP can be supplemented to provide a certain role as a benchmark for compliance before the revision of precedents and laws is complet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손익인식에 관한 기준
Ⅳ. 세법상 손익인식기준의 주요 쟁점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