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씽킹 교육 프로그램 - 다학제 교육과정 실습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n Educational Program of Design Thinking clas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 Focused on the practical project of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
남고은 ( Kristen Koeun Nam )
한국디자인포럼 74권 95-107(13pages)
UCI I410-ECN-0102-2023-600-000528158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도입해 대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체계화된 수업 모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를 세우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창의문제해결과 디자인 씽킹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고 둘째,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디자인 씽킹 수업모형을 제안하고,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였다. 셋째, 해당 수업모형을 적용한 사례연구로 ‘코로나19 챌린지'를 단계별로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성찰 일지를 분석하여 제안한 수업모형에 대한 의의와 효과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수업모형의 평가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에게는 단계별 디자인 씽킹 학습모형에 따라 주차별로 진행한 내용을 상세히 제시하고 교육 경험의 공유를 통해 체계적인 교수법을 참고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학습자에게는 다학제 융합의 경험을 바탕으로 타인과 협업하는 방법, 스스로 문제를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고찰, 확산과 수렴의 반복적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시각화가 주는 장점, 현장에서 실행가능한 결과물 그리고 학습자 자신을 창의적 인재로 느끼는 자신감까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는 과정을 산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방향성 제시 및 적용 가능성을 확장시켜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design thinking process that has improved the problems of creative problem-solving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eparing a course model applicable to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First, a literature study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design thinking was conducted. Second, a design thinking class model was proposed for systematic learning. Third, the ‘Covid-19 Challenge’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to which the corresponding class model was applied, and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the proposed class model were reviewed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 at each step. Final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derived class mode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Result Through this case study, the contents of each week were presented in detail to the instructor,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were referenced and applied through the sharing of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student will learn how to collaborate with oth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multidisciplinary team, consider the process of finding problems,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the iterative process of divergence and convergence, and the advantages and feasibility of visualiz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and expands the applicability for creative problem-solving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