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우수 SCOPUS
외환손익의 손익계산서상 표시위치의 변화가 비전문 투자자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Presentation Position of Foreign Exchange Gains and Losses in the Income Statement on Nonprofessional Investors’ Judgments
최창기 ( Chang Ki Choe ) , 심태섭 ( Tae Sup Shim )
회계학연구 47권 1호 251-289(39pages)
DOI 10.24056/KAR.2022.02.007
UCI I410-ECN-0102-2023-300-000538677

한국회계기준위원회는 2020년 9월 재무제표 표시와 관련된 외환손익의 범주분류에 대한 검토의견을 포함한 IASB의 ‘일반적 표시와 공시’ 공개초안에 대한 국내의견을 IASB에 제출하였다. 만일 IASB의 공개초안이 확정된다면, 현재의 영업이익 표시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외환손익의 손익계산서상 표시위치가 달라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변화가 비전문 투자자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외환손익 유형에 따라 비전문 투자자의 판단이 달라지는가를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 외환손익을 영업 범주로 분류하여 손익계산서에 표시할 경우 본 연구의 응답자는 이를 영업외 범주로 분류한 경우보다 부정적으로 미래 수익성을 예측하였다. 따라서 IASB의 공개초안에서 제시한 외환손익의 손익계산서상 표시위치의 변화는 회계정보 이용자인 비전문 투자자의 미래수익성 판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이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도 본 연구에서 확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회계기준의 변경에 대한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현재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투자집단인 비전문 투자자의 관점에서 개인의 판단 과정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업이익 표시방식 변경의 효과를 예상하고 그 효과를 사전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기여점이 있다. 새로운 회계기준 적용에 따라 정보이용자들에게 미칠 영향은 사전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회계기준의 유용성 확보, 영업이익에 관한 국가 및 기업 간 비교가능성 제고, 규제 및 관리기준 적용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학계, 회계기준 제정기관, 기업, 감독기관 등은 체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는 것이 향후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In September 2020, the Korea Accounting Standards Board submitted to the IASB a domestic opinion on the IASB’s Exposure Draft ‘General Presentation and Disclosures’, including a review opin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ign exchange gains and losse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Finalization of the standards would significantly change the way operating income is presente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posed changes on the judgment of nonprofessional investors based on an exper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foreign exchange gains and losses on the income statement was varied.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type of foreign exchange gains and losses on nonprofessional investors’ judgment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spect theory.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predictions of future profi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negative when foreign exchange gains and losses were classified into operating categories for display on the income statement than w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non-operating categories. However, no effect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was observed. This paper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posed changes on nonprofessional investors of this information in advance of their adoption. The potential impact of new accounting standards on information users need be fully considered in advance. In order to secure usefulness as accounting standards, to enhance comparability of operating income between countries or companies, and to ensure fairness in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preparing of systematic supplementary measures remains an important task for academia, standards setters, corporations, and regulators.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과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자료분석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국내 참고 문헌
<부록> 설문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