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43.202
3.143.143.202
close menu
KCI 등재
통시적 관점에서의 품사 통용 연구 - 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 Focused on the Grammaticalization -
허원영 ( Heo Won-young ) , 최대희 ( Choi Dae-hee )
영주어문 50권 137-172(36pages)
DOI 10.30774/yjll.2022.02.50.137
UCI I410-ECN-0102-2023-700-000551641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때 통시적 관점의 해석이라는 것은 언어 변화의 과정 혹은 결과의 추론을 말한다. 여기서는 언어 변화 이론 중 문법화론에 입각하여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앞선 연구들을 검토한다. 품사 통용은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포함되는 현상이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해당 현상을 공시적으로 기술하고, [-방향성]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다만 품사 통용은 현상에 대한 해석 자체를 유보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향성]이라 정의하는 것은 문제이다. 또한 품사 통용은 주로 품사 분류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지는데, 이 역시 공시적인 해석이다. 품사 통용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유형에서는 통시적 변화가 확인된다. 결국 품사 통용은 [+방향성]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품사 통용은 기존의 공시적 해석뿐만 아니라 통시적 관점에서의 해석도 필요하다. 3장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을 논의한다. 통시적 변화는 다양한 유형의 이론들로 설명되지만, 품사 통용과 관련해서는 문법화가 참고된다. 이때 문법화란 덜 문법적인 것이 더 문법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문법화에서는 의미, 음운, 범주 세 영역의 변화가 단일방향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품사 통용은 범주의 문법화와 관련된다. 국어의 품사 범주는 그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명사/동사/형용사 > 대명사/수사 > 부사 > 관형사 > 감탄사 > 조사’의 경로로 문법화된다. 이처럼 문법화 과정에서 품사 범주가 이동하는 현상을 탈범주화라고 한다. 즉 품사 통용은 문법화 과정에 놓인 단어가 탈범주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품사 통용의 모든 유형을 문법화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같은 유형 내에서도 문법화로 설명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본문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만을 분류하여 제시한다.

This study is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of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fers to the inference of the process or result of language change. Here, Multi-part-of-speech is interpreted based o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among the language change theories. In Chapter 2,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f Multi-part-of-speech. Multi-part-of-speech is a phenomenon in which more than one part-of-speech is included in one word.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 phenomenon is described synchrony and defined as the concept of [-directionality]. However, since Multi-part-of-speech is withhol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itself, defining it as [-directionality] is problematic. Also, it is believed that Multi-part-of-speech is mainly derived from part-of-speech classification, which is also a synchrony interpretation. In most types corresponding to Multi-part-of-speech, diachronic change is confirmed. After all, Multi-part-of-speech can also be described as [+directionality]. Accordingly, Multi-part-of-speech requires an interpreta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s well as the existing synchrony interpretation. In Chapter 3, Multi-part-of-speech was described by grammaticalization. Although diachronic change is explained by various types of theories, grammaticalization is referenced in relation to Multi-part-of-speech. In this case, grammatical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less grammatical thing is transformed into a more grammatical one. In grammaticalization, changes in the three domains of meaning, phonology, and category appear in a single direction. In particular, Multi-part-of-speech is related to the grammaticalization of categories. The part-of-speech category of the Korean language is grammaticalized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vel in the following way : ‘noun/verb/adjective > pronoun/numerals > adverb > determiner > interjection > postposition’.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parts-of-speech category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s called decategorialization. That is, Multi-part-of-speech occurs as the word placed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is decategorialization. Of course, not all types of Multi-part-of-speech can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In addition, even within the same type, there are cases where it is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Accordingly, in the text, cases of Multi-part-of-speech by grammaticalization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1. 서론
2. 품사 통용의 앞선 연구
3. 문법화와 품사 통용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