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헤르더의 인간성 사상, 인류 역사에서 나타난 “인간성의 진보와 퇴보”
Herder’s Thoughts on Humanity: “The advancement and regression of humanity” in the history of mankind
김대권 ( Kim Dae Kweon )
인문학연구 50권 31-71(41pages)
UCI I410-ECN-0102-2022-000-001020524

헤르더는 “인간성의 철학자”라고 불릴 정도로 인간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생애 후반기에 들어서는 그의 주저인 『인류 역사에 관한 철학에 대한 생각』과 『인간성 촉진을 위한 편지』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생각』에서는 ‘인간성’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인류 역사의 목적으로 설정하며 인간성 사상의 기초를 다졌다고 한다면, 『편지』에서는 인간성 사상을 구체적인 현실에 적용하여 인간성을 촉진하거나 후퇴하게 한 요인들을 찾아 분석하고 비판했다. 헤르더는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으로 대변되는 고대인들에게서, 그리고 인간이 이룩한 종교와 예술, 학문과 문학과 기술 분야에서는 인간성이 발전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유럽의 식민주의 정책과 흑인 노예무역과 흑인 노예제와 같은 비인도적인 행위들에서는 인간성이 후퇴했음을 목도하고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헤르더는 인간성 사상을 범인류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리는가 하면, 이것을 억압적인 독일 현실을 비판하는 우회로로 삼기도 한다. 하지만 그리스와 로마, 그리고 유럽을 중심으로 인류 역사를 기술하고 이들의 문화를 인간성 발전의 척도로 삼음으로써 그리스와 로마, 유럽 중심주의적 시각을 대변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In his distinctive publications, Ideas on the Philosophy of the History of Mankind (1784-91) and Letters for the Advancement of Humanity (1793-97), Herder concentrates on the idea of humanity. Ideas explores its concepts, while setting it as the ultimate goal of the history of mankind. Furthermore, phenomena that have promoted or impeded humanity in concrete reality are identified and critically analyzed by Herder in Letters. He acknowledges the development of humanity in the ancient Greeks and Romans,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religion, art, science, literatur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bitter criticisms are also expressed to the regression of humanity as he scrutinizes the European colonial policies and inhumane acts such as slavery. His Greek-Romancentric and Eurocentric position impose limits of his philosophy, yet he is highly regarded as a leading figure who expanded thoughts on humanity to panhuman dimension, while relying on them as a detour to criticize the oppressive reality of the German regime.

Ⅰ. 들어가는 말
Ⅱ. 헤르더의 ‘인간성’ 개념과 그 사상
Ⅲ. “인간성의 진보”
Ⅳ. “인간성의 퇴보”
Ⅴ.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