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류가 직면한 기후 위기는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태적 체제 전환이 여러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교육부가 2021년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또한 이를 반영하여 ‘생태전환교육’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밝히고, 그 관건이 인간과 생태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에 있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삶의 윤리적 기준으로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제안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윤리 선택 과목을 중심으로 생태전환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current climate crisis facing mankind is a serious level that threatens humanity's sustainability. So the ecological system transition to overcome this is being discussed in many aspects. The general review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22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21 were also reflected and the conten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introduced.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and content of such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argues that the key lies in establish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ecology. And it proposes open anthropocentrism as an ethical standard for sustainable life. Focusing on the high school ethics selection subject, I would like to present a step 3 of project class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