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형이상학』 12권과 『원인론』의 관계에 대한 토마스의 해석의 재구성
A Latin-Medieval Relationship between Book Lambda of Metaphysics and the Book of Causes: A Case Study in Thomas Aquinas.
박규희 ( Park Kyuhee )
중세철학 27권 175-226(52pages)
DOI 10.52654/PMA.27.175
UCI I410-ECN-0102-2022-100-001037579

본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플라톤주의적인 형이상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종합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한 토마스의 견해를 『형이상학 주해』에서, 플라톤주의의 형이상학에 대한 토마스의 견해를 『원인론 주해』에서 가져온다. 형이상학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종합 내지 일치에 대한 토마스의 이론은 언급한 두 주석서에 나타난 토마스의 해석들의 종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토마스에게서 『형이상학』과 『원인론』이 결합된다는 것은 다름 아닌 『형이상학』 12권에 나타난 분리실체 이론이 『원인론』의 제일원인들에 대한 이론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뜻인데, 각각에서 분리실체로 제시된 대상들은 인식분석(resolutio)의 관점에서 서로 동일한 것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토마스의 해석에서 『형이상학』 12권 안에 『원인론』의 이론이 어떻게 담겨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낼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how Aristotelian metaphysics is combined with Platonic metaphysics in Thomas Aquinas. In this study I will take Thomas’ Commentary on Aristotle’s Metaphysics as a source in which we can read his thoughts about Aristotle’s metaphysics and bring his own opinion about Platonic metaphysics from his Commentary on the Liber de causis. Since he knew the histo-philological relation between that Arabic treatise and Proclus’s Elements of Theology, for him the Book of Causes shows truly the Platonic philosophy and consequently, his Commentary on that book is the very source, too, where we can read his view on Platonism. In this article, therefore, Thomas’ theory about unity of Aristotle and Platonism will consist of his interpretations shown in those two commentaries. That for Thomas the Book of Causes is combined with Aristotle’s Metaphysics means nothing other than that the doctrine of first causes of the Arabico-Platonic treatise is integrated into the theory of separated substance in book Lambda of Metaphysics. In this research I strive to show in detail how in Thomas’ interpretation the theory of Liber de causis could dwell in the theory of book Lambda.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문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