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를 중심으로 에너지경관의 변동에 주목했다. 세계 태양광시장이 중국 기업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정부는 태양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정부 주도로 구성된 제도는 에너지경관의 역동적인 변화를 담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를 배경으로, 다층적 관점(multi-level perspective)의 “거시환경-사회기술체제-틈새”로 이어지는 층위를 탐색해 사회기술체제로서 정부와 국내 태양광 기업이 세계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을 추적했다. 각 층위의 변화 속도와 혁신적 실험이 일어나는 틈새에 대해 주목했던 다층적 관점의 개념적 논의에 문제를 제기하며, 공간에 따라 차별적으로 변동하는 에너지경관을 추적해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자 했다. 이러한 공간적 논의는 각 국가별로 상이한 탄소배출계수, 산업 특성 등을 추적해, 구성된 제도에 대해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재생에너지 정책 도입의 문제점과 함의에 대한 토론을 통해, 보다 현장 중심적인 제도의 형성과 이행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energy landscape, focusing on the photovoltaic module carbon certification system. As the global photovoltaic market has been reorganized around Chinese compan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ush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s photovoltaic industry. However, a limitation remains in that the government-led effort was not sufficient to bring about dynamic changes in the energy landscap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d the stages leading to the multi-level perspectives of “macro-environment, socio-technical regime, and niche” to track the process of the government and domestic photovoltaic companies as part of a socio-technical regime responding to global market changes. In particular, this study raised an issue with the conceptual discussion of multi-level perspective, which placed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ate of change at each level and the niche in which innovative experiments take place, and thus attempted to fill this gap by tracking the energy landscape that varies differently from space. These spatial discussions can track different carbon emissions coefficients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for each country, and have a higher level of explanatory power for the system thus constructed. In addition, through discussions on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government-led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create and implement a field-oriente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