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는 문학작품에 녹아들어 대를 이어 향유되고 있다. 한국어학습자들 또한 고향을 떠나 한국사회라는 타향에서의 삶을 살기에 고향에 대한 남다른 의미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학습자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기도 하며, 한국인들이 갖는 남다른 ‘고향’에 대한 정서를 여러 문학 장르의 문학작품을 통해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고자 한다. 본 고에서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읽기 텍스트로서의 접근성과 언어 수준을 고려한 문장의 길이 그리고 내용 파악의 용이성을 염두에 두고 고향이라는 주제와 소재가 포함된 문화요소를 고려하여 단편소설, 수필, 현대시, 시조의 장르를 선정하였다. 소설에서는 고향 상실과 고향 회귀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 황석영의 ‘삼포로 가는 길’과 문순태의 ‘징 소리’를 선택하였다. 외지를 떠도는 주인공들에게 고향은 마음속에 담겨 있고, 돌아가고 싶은 곳으로 정착하고픈 곳이다. 수필에서는 수필가로 인지도가 있고, 내 고향에서 고향에 대한 애착을 잘 표현한 치옹 윤오영의 ‘내 고향’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연구 및 국어정책 발전에 힘썼으며, 월남 학자로서 고향에 대한 의식이 남달랐고, 고향과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도 강하게 나타난 해암 김형규의 ‘고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내 고향’에서는 고향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이 ‘고향’에서는 두고 온 고향과 홀로 계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회한에 빠진 모습이 잘 나타난다. 시에서는 정지용의 ‘향수’와 이시영의 ‘마음의 고향6 초설’을 선택하였다. ‘향수’에서는 고향의 정경을 잘 묘사하고 있고,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고 있고, ‘내 마음의 고향’에서는 고향을 잃은 상실감과 그리움의 정서를 반어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시조에서는 고향에 대한 작품을 많이 남긴 백수 정완영의 ‘고향생각’과 초정 김상옥의 ‘사향’을 선택하였다. ‘고향생각’에서는 단지 태어나 자란 곳이 아닌 조상 곁으로 돌아가는 공간으로의 고향으로 그려지고 있다. ‘사향’에서는 고향을 떠나 일경의 추적을 피하면서도 고향에 대한 애틋한 생각을 담고 있다. 작품들에서 고향은 한국인들에게 고향은 자기가 태어난 곳을 넘어 자신의 뿌리가 되고 힘들 때 생각나고,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곳으로 생각하고 있다. 문학 장르별 문화 교육 방안으로 소설과 수필은 고향을 주제로 써보는 것을, 시와 시조에서는 모방시 짓기와 시조 창작 활용을 제시하였다. 고향이란 테마에 한국인의 효와 가족 사랑을 묶는다면 한국어 문화교육 현장에서 좋은 소재가 될 것이고, 한국의 문화를 교육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Koreans' emotions about their hometown have been melted into literary works and enjoyed for generations.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also have a special meaning for their hometowns because they leave their hometowns and live in other regions of Korean society. Therefore, Korean learners themselves can be seen in light of themselves, and they intend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Koreans through literary works of various literary genres. In this paper, short stories, essays, modern poems, and sijo genr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elements including the theme and subject of hometown, with Korean learners in mind of accessibility as reading texts, language level, and ease of identification. In the novel, Hwang Seok-young's "The Way to Sampo" and Moon Soon-tae's "Jingsori," which dealt with in-depth loss of hometown and return to hometown, were selected. For the protagonists wandering around the country, their hometown is contained in their hearts and they want to settle down as a place they want to return to. In his essay, he was recognized as an essayist, and he worked hard to study Korean history and develop Korean language policies as a representative Korean scholar in Korea, and discussed Haeam Kim Hyung-gyu's hometown, which showed a strong sense of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mother. In My Hometown, attachment and pride to my hometown are well seen in regret, thinking about my hometown and my mother who is alone. The poem chose Jeong Ji-yong's "Nostalgia" and Lee Si-young's "Hometown of Heart 6." In "Nostalgia," the scenery of the hometown is well described, the longing for the hometown is expressed using a sensuous image, and in "Hometown of My Heart," the emotion of loss and longing for the loss of hometown is ironically emphasized. In the progenitor's book, Baeksu Jeong Wan-young's "Hometown Thoughts" and Chojeong Kim Sang-ok's "Sahyang" were chosen. In "Hometown Thinking," it is depicted as a hometown that goes back to the ancestor's side, not just a place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Sahyang’ contains affectionate thoughts about the hometown while avoiding the pursuit of Ilgyeong, leaving his hometown. In the works, I think of my hometown as a place for Koreans to go beyond where I was born, become my roots, think of when I have a hard time, and go back someday. As a cultural education plan for each literary genre, novels and essays were written on the theme of hometown, and poems and sijos suggested writing imitations and the use of sijo creation. If Koreans' filial piety and family love are tied to the theme of hometown, it will be a good material in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field and help educate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