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생계급여의 구축효과가 기초연금제도의 소득재분배 및 빈곤완화에 미치는 영향
Do Livelihood Benefits Crowd out the Effect of the Basic Pension Reforms on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Alleviation in Korea?
박명호 ( Myung-ho Park ) , 윤정선 ( Jeongsun Yun ) , 박대근 ( Dae Keun Park )
DOI 10.37103/KAPP.23.4.3
UCI I410-ECN-0102-2022-300-000943705

본 연구는 최근 기초연금 확대 정책의 소득재분배와 빈곤완화 효과에 대한 생계급여의 구축효과를 제13차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분석결과, 기초연금제도가 없었을 경우와 비교하면 현행 기초연금제도는 소득재분배 및 빈곤완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존 제도와 비교 시 최근의 일련의 제도개편의 효과는 전체 가구에서 기초연금 수급가구의 비중이 높지 않아 그렇게 크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빈곤완화 측면에서도 기초연금제도가 없었을 경우와 비교 시 상대적 빈곤율 및 빈곤갭률을 상당히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일련의 제도개편은 빈곤 가구가 빈곤에서 벗어날 뿐만 아니라 빈곤의 심도를 낮추는데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생계급여의 구축효과는 기초연금과 생계급여의 동시 수급자가 많지 않아 기초연금 개편의 긍정적 효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whether and how livelihood benefits crowd out the income redistribution and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the recent basic pension reforms through a micro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13th NaSTaB. The results first show that the current basic pension system greatly contributed to income redistribution and poverty alleviation compared to the counterfactual case where there were no basic pension. However, compared to the pre-reform system, the effect of the recent series of basic pension reforms are not so large because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receiving basic pension was not high in all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overty alleviation, we find that the relative poverty rate and poverty gap rat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unterfactual case where there were no basic pension. In addition,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not only to helping poor households out of poverty, but also to lowering the depth of poverty in poor households. Lastly, we find that the crowding out effects of livelihood benefi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ome redistribution and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the recent basic pension reforms because there were not many simultaneous recipients of basic pension and livelihood benefits.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모형 및 결과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