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고대 로마사 문헌 사료 편집 사례 연구 - 타키투스의 『연대기』 제1권 1-2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Critical Edition of Roman Historical Works: Tacitus’ Annals, I. 1-2.
김기훈 ( Kim Kihoon )
서양고대사연구 62권 237-264(28pages)
UCI I410-ECN-0102-2022-900-000949407

본고는, 고대 로마의 역사를 다룰 때 필요한 가장 우선적인 문헌학적 준비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일종의 사례 연구로서 이하에서는, 학계에서 통용되는 타키투스의 『연대기』 비판 편집본 두 종을 선별해 그 서두 부분을 비교했다. 1906년 ‘옥스퍼드 고전 문헌’(OCT) 총서에 포함되어 출간된 이래 기이하게도 여전히 상당한 권위를 누리고 있는 피셔(C. D. Fisher)의 편집본이 그 첫 번째 대상이다. 반대로, 비판 장치를 상당히 잘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보르자크(István Borzsák)가 1992년 ‘토이브너 그리스, 로마 문헌 총서’(BT)로 출간한 편집본은 국내 학계에서는 그다지 참조되고 있지 않다. 이하에서는, 이 두 비판 편집본의 장단점을 『연대기』 서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상호 비교, 분석했다. 요컨대, 보르자크의 비판 편집본이 『연대기』 전반부를 담고 있는 <메디치 제1사본>에 대해 충실한 문헌 사료 비평을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목 및 저자명 표기 문제, 장절 구분, 필사 전승사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연구자들은 피셔의 편집본에 기대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접근성이나 편의상의 이유에서든, 다른 비(非) 문헌학적 이유에서든 이럴 경우, <메디치 제1사본>은 물론 『연대기』 독해에도 오해를 낳을 수 있기에 비판 편집본 선택, 문헌 사료 비평에 있어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어느 정도 “전통과 이성”(traditio et ratio)에 대한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학, 특히 고대사 연구에서 고전 문헌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크다. 시계열적으로 지금-여기에서 너무나도 멀리 떨어져 있기에 그 온전히 복원하기 힘든 과거의 사실(事實)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헌 사료, 즉 사실(史實)에 의탁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문헌 사료들은, 그것이 기록으로 담고 있는 역사와는 별개로 나름의 독자적인 문헌 전승의 역사를 안고 있다. 예컨대, 기원 전후의 역사를 공부하고자 한다면, 실제 그 당시 저술가가 작성했거나 출판했던 원본 문헌 사료를 조회할 수밖에 없는데, 유감스럽게도 그것이 온전히 전해 오는 경우는 전혀 없다. 그 때문에 수백, 수천 년 동안 필사되어 온 후대의 문헌 사료들을 탐색하고 그 진위 여부, 그것들 간의 선후 관계 등을 분석해 비로소 원본에 최대한 가까운 문헌 사료를 재구성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문헌 사료 비평 작업을 거치고 난 후에는 그것을 토대로 사실(事實)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는데, 그런 점에서 사실(史實) 비평으로서의 문헌학적 연구는 결코 간과될 수 없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hilological preparation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work for the study of Ancient Rome. As a case study, the present paper has compared and analyzed two critical editions of Tacitus’ Annals 1-6,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early parts of them. The one is Charles D. Fisher’s edition (1906) which is still in the line-up of Oxford Classical Texts and has been being used by many people unusually with some authority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stván Borzsák’s edition (1992) as a title of Bibliotheca Teubneriana provides evidently substantial apparatus criticus, but it seems to have gone largely unnoticed by domestic researchers. By philologically analyzing these edi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Borzsák’s work is more faithful that Fisher’s, in regard to the textual criticism of the manuscript, which is well-known as Codex Mediceus sive Laurentianus 68.1, with a more comprehensive and truthful text edition, e.g. the notation of the title of the work, of the author’s name, the division of chapters and sections, the information of the text transmission, etc. However, Fisher’s edition seems to have been more attractive to many ones, because of the authority or the accessibility of the OCT. These non-philological reasons may bring about some misunderstandings or confusions for the manuscript and Tacitus’ work. So it is necessary for academics to be careful and cautious in choosing the ancient historical text sources and their critical editions, keeping the reliablity of the tradition and the reason (traditio et ratio) in mind. Classical philology ha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cient history. Because there is such a long time span from hic et nunc, it is necessary to depend on the historical writings or the historiographical works which can be very obscure, in order to study and reconstruct the historical facts or truths. Such written documents have their own traditions and histories independent from the histories of the past that they contain. For instance, if someone would study the history of the centurial period BCE to CE, she or he should refer to the original or primary sources which were published in those day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no intact sources that have endured the invincible time. Accordingly, he/she, the historian or the philologist, should devote themselves to explore the manuscripts which have been produced after the original text, the other literary sources also, then to compare and analyze them, to criticize their authencity and historicity, and finally to reconstruct the historical writings as probably and credibly as possible. After such a philological preparation involving the textual criticism that cannot be overlooked by any historian, then at last one is allowed to study the historical facts or the fact itself.

Ⅰ. 머리말: 사실(事實)과 사실(史實) 비평
Ⅱ. 타키투스 문헌 전승: <메디치 제1사본>과 『연대기』
Ⅲ. 『연대기』 제1권 1-2장 편집 사례 비교
Ⅳ. 맺음말: 사실(事實)을 통해 사실(史實)을 향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